출처 :http://www.gmbbs.com/mytip/3134
[1] 템포러리와 캐시정리
[2] 스캔 디스크 알기①
[3] 스캔 디스크 알기②, DLL 정리
[4] 레지시트리 찌꺼기 버리기
[5] 언인스톨 목록?r트레이 정리
[6] 디스크 조각 모음 알아보기
[7] 이메일과 바이러스 관리법
[1] 템포러리와 캐시정리
여러분의 PC는 생생합니까? PC가 너무 굼뜬 것 같지는 않나요? 사실 PC가 쓸수록 느
려지는 데에는 사용자의 잘못도 큽니다. 윈도를 쓰면서 단 한 번도 스캔디스크를 해본
적이 없거나 레지스트리 관리가 뭐냐고 되묻는 분들이라면 더욱 그렇지요. 하우피씨가
윈도에 끼인 때를 말끔하게 청소하는 방법과 윈도의 핵심 원리를 이용한 윈도 관리 팁들
을 모두 공개합니다. 해묵은 윈도 체증이 확 풀릴 것입니다.
체계적인 윈도 대청소 체크 포인트
□ 1. 윈도가 있는 'C:\' 하드디스크의 '등록 정보'를 확인해 본인의 시스템 상태를 면밀
히 검토하라.
□ 2. 템포러리와 캐시 폴더를 완벽하게 비운다.
□ 3. 사용하지 않는 파일을 속속들이 찾아내 없앤다.
□ 4. 글꼴을 정리해 윈도 부팅 속도를 높인다.
□ 5. 손상된 시스템 파일을 복구한다.
□ 6. 사용되지 않는 DLL 파일을 찾아 삭제한다.
□ 7. 레지스트리를 백업하고 복원한다.
□ 8. 그래도 못 미더우면 레지스트리를 최적화한다.
□ 9. 레지스트리 찌꺼기를 말끔히 청소한다.
□ 10. 필요 없는 프로그램은 확실히 제거한다.
□ 11. 오류에도 끄떡없는 언인스톨 배치 파일을 만든다.
□ 12. 필요 없는 트레이 아이콘을 선별한다.
□ 13. 트레이 아이콘을 완벽하게 삭제한다.
□ 14. 스캔디스크로 하드디스크의 오류를 잡아낸다.
□ 15. 디스크 조각 모음으로 하드디스크를 최적화한다.
□ 16. 이메일 바이러스 완벽하게 차단한다.
□ 17. 이메일을 정리해 깔끔한 편지 보관함을 만든다.
□ 18. 메일을 텍스트 파일로 변환해 메일 함의 무게를 줄인다.
□ 19. 시스템에 엉겨붙은 바이러스를 제거한다.
□ 20. 지금까지 배운 윈도 청소 방법을 토대로, 지속적으로 윈도의 청결을 유지한다.
Part 1 시스템 자원을 좀먹는 '템포러리'와 '캐시'는 가라!
PC에 있는 파일 중에는 불필요한 것도 있다. 예를 들어 'C:\Windows\Temp' 디렉터
리에 있는 TMP 파일은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수행하는 과정에서 임시로 만들어졌다
가 그대로 남은 경우이다. 이런 파일을 마냥 보관하고 있다는 것은 자원의 낭비일 뿐 아
니라 시스템 속도 저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윈도는 지운 파일들을 휴지통에 임시로 보관한다. 파일을 지우면 휴지통이라는 정해진
공간이 다 찰 때까지 계속 파일이 저장된다. 또한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상에서 열어본
웹페이지를 일단 'Temporary Internet Files'라는 폴더에 저장해 놓는다. 웹페이지에서
자동 다운로드한 액티브X 컨트롤과 자바 애플릿도 함께 저장한다.
휴지통 에 일주일 이상 방치된 파일이 있다면 제거하는 게 좋다. 2GB의 하드디스크에
서 휴지통이 차지하는 공간은 약 200MB 정도인데,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용량이다.
템포러리와 캐시 폴더 완벽하게 비우기
C:\Windows\Temp 와 C:\Windows\Temporary Internet Files 폴더 안의 불필요
한 파일을 지우다 보면 삭제가 불가능한 것들이 발견된다. 이런 경우는 사용 중인 파일
들이므로 관련 프로그램을 종료해야만 삭제할 수 있다. 폴더를 보다 확실하게 비우고 싶
으면 아래와 같이 도스 모드로 부팅한 다음 작업한다.
1. 시작→시스템 종료→MS-DOS 모드에서 시스템 다시 시작을 선택한 다음 확인 버튼
을 누른다.
2. 도스 모드로 재부팅해 CD C:\Windows\Temp 명령을 실행시킨 다음 템포러리 폴
더로 이동한다.
3. Del *.* 명령을 실행시키면 디렉터리 안의 파일들이 모두 삭제된다. 다시 윈도 98로
돌아가C:\Windows\Temporary Internet Files 디렉터리 안의 파일들도 모두 삭제해
준다.
못지우는 것 빼고 다 지우자!
하드디스크의 불필요한 파일들 중에는 디스크 정리 기능으로 찾아낼 수 없는 것들도 있
다. 응용 프로그램이나 윈도 오류로 인해 생겨난 파일들이다. 이런 파일들까지 완벽하
게 삭제하려면 약간 번거롭더라도 다음과 같은 작업을 거쳐야 한다.
1. 시작→찾기→파일 또는 폴더 를 선택해 이름 에 *.TMP 를 입력한 다음 지금 찾기 버
튼을 누른다.
2. 확장자가 .tmp 인 파일들이 검색되면 모두 선택해 [Del] 키로 삭제한다.
3. 같은 방법으로 BAK, CHK, GRP, OLD, $$$ 등을 확장자로 가진 파일들도 모두 삭제
해 준다.
[2] 스캔 디스크 알기①
필요 없는 글꼴을 삭제해 부팅을 빠르게!
통상적으로 글꼴 수와 부팅 속도는 반비례한다. 윈도는 부팅시 글꼴에 대한 정보를 모
두 읽어들이기 때문에 글꼴이 많아지면 그만큼 정보를 읽는 시간도 길어질 수밖에 없
다. 윈도가 제대로 관리 가능한 글꼴 수는 고작 500개 정도에 불과하므로 부팅 속도를
향상시키려면 필요 없는 글꼴은 과감히 삭제해 주어야 한다.
1.윈도에서 시작→제어판 을 선택해 글꼴 항목을 실행시킨다.
2. C:\Windows\Font 폴더가 열리며 현재 윈도에서 사용하고 있는 폰트의 목록이 나
타난다. 폰트 항목을 더블클릭해 필요 없는것은 삭제한다.
3. 메뉴 중 유사성 아이콘을 클릭해 유사성을 비교한 후 필요 없는 것은 삭제한다.
글꼴을 삭제할 때는 유사한 글꼴, 그 중에서도 특히 비트맵 글꼴부터 삭제한다. 빨간색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들은 시스템 폰트이므로 삭제하지 않는 게 좋다.
TIP 임시 파일이 생기면 알아서 척척 지워버린다
임시 파일을 모아놓았다가 정기적인 윈도 대청소 때 한꺼번에 지우는 것조차 귀찮아하
고, 하드디스크가 1~2MB밖에 남지 않았다는 적신호가 나타날 때쯤에야 부랴부랴 삭제
하는 사용자들에게 딱 맞는 팁 하나를 공개하려 한다. autoexec.bat 파일을 변형해 임
시 파일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1. C:\ 디렉터리에 있는 autoexec.bat 파일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편집
을 선택한다. 만약 편집 메뉴가 없다면 연결 프로그램 을 메모장 으로 지정한다.
2. 메모장이 열리면 맨 마지막 줄에 DEL C:\Windows\Temp\*.tmp 를 입력하고 파
일을 저장한다. 이제 임시 파일은 생성되자마자 자동으로 제거될 것이다.
Part 2 윈도 95부터 쭉 이어온 스캔디스크, 모르면 후회할 걸?
윈도가 첫선을 보인 1995년부터 포함되어 있던 스캔디스크(ScanDisk)라는 가능이 있
다. 이 스캔디스크에는 비정상적으로 시스템이 꺼진 후 나타나는 도스 버전과 정상적으
로 시스템을 끈 후에야 사용할 수 있는 윈도 버전, 2가지가 있다. 이 2가지 스캔디스크
모두 디스크의 파일 할당 테이블(FAT, File Allocation Table), 긴 파일 이름, 파일 시스
템 구조(로스트 클러스터, 크로스 링크 파일), 디렉터리 트리 구조, 드라이브의 물리적
표면(불량 섹터), 드라이브 스페이스 볼륨 구조 등을 체크하고 수정하는 것이 주요 임무
이다.
일단 스캔디스크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자. 하드디스크는 크게 FAT, 디렉터리, 사
용자 데이터 등 3가지 공간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FAT는 디스크의 어떤 부분이 사용
가능한지 또는 불가능한지 등의 정보(트랙)를 기억하는 곳이고, 디렉터리는 개별 파일
들의 속성과 파일의 이름 등을 보관하는 곳이며, 디스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사용
자 데이터는 모든 종류의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는 공간이다.
파일을 열었다가 제대로 닫지 않은 경우나 애플리케이션을 제대로 종료시키지 않은 경
우, 임시 파일을 적절히 저장하거나 삭제하지 않았을 경우, 정상적으로 종료하지 않고
작업 도중에 컴퓨터 전원을 내린 경우에 로스트 크러스터가 발생한다.
어떤 파일이 어떤 클러스터를 사용하는지는 윈도 98의 FAT에 저장된다. 다행히 로스트
클러스터에는 유용한 데이터가 거의 없지만, 여러 차례에 걸쳐 쌓인 로스트 클러스터는
디스크 공간을 낭비하는 요인이 된다.
스캔디스크 실행시 로스트 클러스터를 파일로 저장하면 루트 디렉터리에 FILE000.CHK
라는 파일이 저장된다. 보통은 그냥 삭제해도 무방하지만 파일에 유용한 정보가 들어 있
는 건 아닌지 의심스럽다면 도스 모드에서 ore다음 삭제한다. 이 때 파일 내용이 텍스트 형태라면 어떤 데이터에서 문제가 발생했는
지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바이너리 형태라면 어떤 파일에 문제가 생겼는지 추측해 내
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스캔디스크를 작동하는 도중에는 오류 자동 수정 기능을 사용하
지 않도록 하고, 어떤 디렉터리에서 디스크 점검이 멈추는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ㅡ PC의 전원이 갑자기 꺼졌을 경우의 스캔디스크 작업
PC의 전원이 갑자기 꺼지면 디렉토리 정보나 사용자 데이터가 올바른 FAT에 저장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이러한 부분이 발견되면 윈도는 스캔디스크를 자동으로
실행시키고 파일 조각을 적절한 자리에 배치해준다.
배드 섹터가 생겼을 때의 스캔디스크 작업 ㅡ>
하드디스크 중 일부분이 더 이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을 만큼 손상된 경우, 배드 섹터
(Bad Sector)라 부른다. 스캔디스크는 배드 섹터를 만나면 프로그램이 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표시해 준다.
<ㅡ 크로스 링크 오류가 발생했을 때의 스캔디스크 작업
오류로 인해 서로 다른 파일이 같은 사용자 데이터 구역에 저장되었을 경우에 스캔디스
크는 크로스 링크 오류(Cross Link Errors) 메시지를 출력하고 겹친 파일을 다른 사용
자 데이터 구역으로 옮겨준다.
[3] 스캔 디스크 알기②, DLL 정리
손상된 시스템 파일 감쪽같이 되살리기
잘 실행되던 프로그램이 새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갑자기 작동되지 않는 수가 있다. 특
히 한글 윈도에서 영문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경우에 이런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데, 이
경우 DLL 파일 같은 시스템 파일이 영문 버전으로 교체되면서 한글 버전 DLL 파일을 사
용하는 다른 프로그램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실수로 시스템 파일을 지우는 바람
에 프로그램 실행에 문제가 생기거나 PC가 다운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는 시스템 파
일 검사기를 이용하면 쉽게 복구할 수 있다.
1.'시작→실행'을 선택해 'sfc.exe'를 입력한 다음 '확인' 버튼을 누른다.
2.. '시스템 파일 검사기'가 실행되면 2가지의 옵션 선택 메뉴가 나타난다.
'변경된 파일 검색'은 변경되거나 손상된 파일을 자동으로 찾아주는 옵션이다.
사용자가 손상된 파일이 어떤 것인지 알고 있는 경우에는 '설치 디스크에서 한 파일의
압축 해제'를 선택한다. 그러면 윈도 98의 설치 CD에서 압축 파일을 찾아 자동으로 설
치해 줄 것이다.
3. '시스템 파일 검사기' 오른쪽 맨 아래의 '설정' 버튼으로 파일 검사기의 설정 사항을
변경한다.
4. '변경된 파일 검색' 항목을 선택하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시스템 파일 검사기'가 변
경되며 손상된 파일을 검색한다. 손상된 파일이 발견되면 화면처럼 파일 이름과 위치,
원하는 옵션 설정 내용 등이 나타난다.
스캔디스크 잠재우기
윈도 98에서는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는 다음 부팅시 자동으로 스캔디스크가 실행된
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소 불편할 수
도 있는 기능이다. 비정상 종료 후 자동으로 스캔디스크가 실행되는 것을 막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을 변경해 주면 된다.
1.'시작→실행'을 선택하고 'msconfig'를 입력한 다음 '확인' 버튼을 누른다.
2.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 창이 나타나면 오른쪽 아래의 '고급' 버튼을 누른다.
3. 항목 중간에 있는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종료해도 디스크 검사를 안 함'에 체크하
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Part 3 손대기 힘들었던 시스템 파일, 쓸모 없는 'DLL' 완전 소탕
컴퓨터의 모든 작업은 RAM(Random Access Memory)이라 불리는 작은 메모리 칩 안
에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윈도 95나 98에서는 여
러 프로그램의 실행과 종료를 장시간 반복하다 보면 시스템 속도는 점점 더 느려진다.
예를 들어 현재 메모리의 여분이 30MB라면 12MB를 차지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했다가
종료해도 똑같이 30MB의 메모리 여분이 남아야 하지만, 실제로는 28MB 정도로 용량
이 줄어든다. 이는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로딩되었던 DLL 파일들이 삭제되
지 않은 채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쓸모 없는 DLL 파일들로 메모리 공간이 가득 차게 되면 윈도 95․98은 하드디스크를 메모
리처럼 사용하는 스왑(Swap) 메모리 기법으로 부족한 공간을 충당한다. 정상적으로는
속도가 느린 스왑 메모리에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만 임시로 저장하고 주요 작업
은 실제 메모리에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변환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
우에는 시스템 속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윈도 95․98은 메모리의 대부분
을 파일 관리를 위한 캐시로 설정하기 때문에 정작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는 메모리가 부
족해 제대로 동작이 되지않는 경우가있다.
얼굴 없는 DLL 단번에 구별하기
윈도의 시스템 폴더나 기타 프로그램의 폴더에서 자주 볼 수 있는 DLL(Dynamic Link
Library) 파일은 모두 2개의 기어가 맞물려 돌아가는 모양의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따라
서 웬만한 고급 사용자도 어느 파일이 어느 프로그램과 관련된 것인지 알아내기 힘들
다. 하지만 레지스트리 정보만 조금 수정해 주면 이 DLL 파일의 본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1. '시작→실행'을 선택해 'Regedit'를 입력한 다음 '확인' 버튼을 눌러 '레지스트리 편집
기'를 실행시킨다.
2. 'HKEY_CLASSES_ROOT', 'Dllfile', 'DefaultIcon' 폴더를 차례로 눌러 '기본값'이라
는 항목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수정'을 선택한다.
3. 기본값을 '%1'로 바꾸고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종료하면 각 DLL 파일이 고유의 아이
콘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고유 아이콘이 없는 DLL 파일은 윈도 기본 아이콘으로 나
타난다.
클린 시스템으로 DLL 파일 청소 끝내기
프로그램 실행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DLL은 여러 프로그램이 서로 공유하는 파일이므
로 전문가가 아니라면 손대지 않는 것이 좋다. 만약 DLL 파일이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너무 많이 차지하고 있어 반드시 정리해야 하는 경우라면 클린 시스템(Clean System)
같은 DLL 전용 삭제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1.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간단한 메인 화면이 나타난다. 'Scan drives→드라이브'를
선택한 다음 'Start Scanning'을 누르면 바로 삭제할 DLL 파일 검색이 시작된다.
2. 사용하지 않는 DLL 파일의 목록이 나타나면, 삭제할 파일을 선택한 다음 'OK' 버튼
을 누른다. 시스템 폴더에서 DLL 파일이 지워지고 'C:\Windows\system\bkupdlls'
폴더에 백업 파일이 저장될 것이다.
[4] 레지시트리 찌꺼기 버리기
Part 4 그냥 놔두면 군살 된다! 레지스트리 찌꺼기 모두 버리기
레지스트리(Registry)는 윈도를 구성하는 데이터들이 총 집결되어 있는 중앙 저장소, 혹
은 계층적인 데이터베이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윈도의 시스템, 하드웨어, Win32 기반 응
용 프로그램 등에 관련된 구성 정보와 사용자 정보가 모두 이 레지스트리에 기록된다.
윈도가 레지스트리를 채용한 것은 명령 처리 속도를 향상시켜 리얼 모드 메모리를 최소
화하기 위해서다. 윈도 95 이전의 윈도 3.X에서는 'Win.ini'와 'System.ini'라는 파일에
각종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저장했었다. 그러나 기록된 내용을 한 줄씩 읽어들이다 보
니 부팅 시간이 너무 길어졌고 메모리 낭비도 심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윈도 95부터는 윈도 NT에서 사용하던 레지스트리라는 개념을 도입한 것이
다.
레지스트리 구조는 6개의 서브루트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서브루트 밑에는 하드웨
어, 소프트웨어,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가 수없이 많이 나열되어 있다.
TIP HKEY-CLASSES-ROOT : OLE 데이터와 파일 확장자에 대한 정보, 각 파일과 프
로그램 간 연결에 관한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 루트에 포함되어 있는 확장자 목록
을 클릭하면 오른쪽 창에 연결 프로그램의 이름이 나타난다.
HKEY-CURRENT-USER : 컴퓨터 환경 설정에 관한 정보가 담겨 있는 곳이다. 이 곳에
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윈도의 상태, 제어판 설정, 키보드 형식, 최근 설치한 프로그램
의 위치, 네트워크 사용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HKEY-LOCAL-MACHINE : 컴퓨터에 설치된 하드웨어와 그 하드웨어를 구동시키는 데
필요한 드라이버와 설정 사항 등이 모인 곳이다.
HKEY-USERS : 저장된 전체 정보와 데스크톱 설정,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저장되어 있
다.
HKEY-CURRENT-CONFIG : 간단하게 디스플레이와 프린터에 관한 설정만 포함되어
있다.
HKEY-DYN-DATA :ConfigManager와PerfState라는 2개의 서브키를 갖고있다. 윈도의
모니터 역할만 담당한다.
레지스트리를 저장하는 파일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첫번째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담고 있는 'User.dat' 파일이다. 윈도 98이나 Me에서는 C 드라이브에 설치한 윈도
가 'C:\windows' 폴더에 저장되고, 윈도 2000에서는 'C:\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에 'Ntuser.dat'라는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 별도의 위치가 정
해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 파일이 없더라도 염려할 필요는 없다.
두 번째는 'System.dat' 파일이다. 이 파일에는 하드웨어나 PC와 관련된 설정들, 즉 하
드웨어 초기화 파일과 관련된 정보가 담겨져 있다. 이 파일은 윈도의 모든 플러그&플레
이 설정과 하드웨어 구성, 응용 프로그램 설정 등을 저장하고 있다. 윈도 98과 Me에서
는 파일의 중요성 때문에 보호 모드인 숨김 파일로 지정되어 있다. 이 파일을 보려면 폴
더 옵션에서 '숨김 파일 및 폴더 표시'에 체크해 주어야 한다.
레지스트리 백업하기
프로그램 설치와 제거를 반복하다 보면 이전 프로그램의 레지스트리 정보가 삭제되지
않고 남아서 말썽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윈도의 알 수 없는 오류는 바로 이 레지스트
리가 원인일 경우가 많다. 따라서 덩치 큰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전이나 레지스트리를 손
봐야 할 경우에는 반드시 레지스트리를 백업해 두어야 한다.
1.'시작→실행'을 선택하거나 '시작→프로그램→한글 MS→DOS'를 선택
해 'Scanregw'를 실행한다.
2. 레지스트리 검사 프로그램이 레지스트리를 검사해 자동으로 백업을 마친다. 레지스
트리는 'Windows' 폴더에 'system.dat'와 'user.dat라는 파일로 저장된다.
3. 부팅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될 때에는 수동으로 레지스트리를 복원한다. 도스 모드로
부팅한 다음 'scanreg/restore'를 실행시키면 된다.
4. 레지스트리 파일이 여러 개 백업된 경우에는 목록이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복원하고
자 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복원이 완료된다.
레지스트리 최적화하기
설치된 프로그램이 많으면 레지스트리 파일이 커지고, 메모리로 불러올 정보도 많아진
다. 이런 경우에는 시스템 성능 저하뿐만 아니라 정확히 프로그램과 연결되지 않으면 치
명적인 오류를 유발할 수도 있다.
레지스트리를 최적화시키면 그만큼 시스템의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윈도 98에서
는 윈도 95에서 사용하던 Regclean이라는 윈도 최적화 프로그램은 사용할 수 없다.
1.'C:\Windows' 폴더로 이동해 레지스트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system.dat' 파일
의 크기를 확인한다. 3MB 이상이라면 레지스트리 최적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2. 도스 모드로 부팅한 다음 'C:\Windows\Command'에서 'scanreg /fix' 명령을 실
행시키면 연결된 프로그램을 검사해 오류를 유발할 수 있는 레지스트리의 정보를 수정
한다.
이지클리너로 레지스트리 찌꺼기 제거하기
잦은 프로그램의 설치와 제거로 인해 누적된 '유령' 레지스트리는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해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레지스트리 청소 유틸리티를 이용해 주기적으로 찌꺼기를
청소하면 된다. 레지스트리를 오랫동안 관리하지 않았거나 원인 모를 오류가 발생했다
면 다음과 같이 이지클리너로 레지스트리의 찌꺼기를 말끔히 청소해 보자. 이 때 만일
의 사태에 대비해 레지스트리를 백업해 두어야 한다.
1.이지클리너를 실행시킨 다음 메인 화면에서 'Clean registry' 버튼을 누른다.
2. 'Clean registry' 창에서 'Find' 버튼으로 사용되지 않는 유령 레지스트리를 검색한
다.
3. 찾아낸 유령 레지스트리의 목록 중 'String value'와 'File/path reference' 항목을 살
펴본 다음 필요 없는 레지스트리는 'Delete' 버튼으로 삭제한다.
4. 만약 검색된 레지스트리가 모두 필요 없는 것이라면 'Select all→Delete' 버튼으로
한꺼번에 삭제한다.
[5] 언인스톨 목록.트레이 정리
Part 5 지울 프로그램은 흔적도 없이 깨끗이!
한 조각의 파일도 남기지 않는 '언인스톨'
윈도용 응용 프로그램은 설치시 실행에 필요한 파일을 여러 디렉터리에 나누어 보관한
다.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렉터리 외에 윈도가 설치된 디렉터리(C:\WINDOWS)와 시스
템 디렉터리(C:\WINDOWS\SYSTEM) 등에도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드라이버
와 데이터 파일을 만들어두는 것이다. 따라서 디렉터리만 삭제한다고 프로그램이 완전
히 지워지는 건 아니다.
프로그램을 완전히 삭제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기
능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설치된 프로그램 자체에서 지원하는 언인스톨
(Uninstall) 기능인데, 하드디스크 구석구석 흩어져 있는 프로그램 파일을 찾아내 완전
히 삭제하는 게 그의 임무다. 언인스톨 정보는 프로그램 설치시 레지스트리에 자동 입력
된다. 각 항목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TIP
기본값 : 언인스톨 정보와 무관
Displayname :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기능에 나타나는 이름
Uninstallstring : 언인스톨 프로그램의 경로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맨 마지막의 Uninstallstring 항목인데, 이것은 도스의 배
치(BAT) 파일처럼 작동해 프로그램의 경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제어판'의 '프로
그램 추가/삭제' 항목을 실행시킨 다음 'ICQ→추가/삭제' 버튼을 누르면 윈도는 레지스
트리에 등록된 대로 'C:\PROGRA~1\ICQ\ICQUninstall.EXE'를 실행시킨다. 여기
서 'ICQUninstall.EXE'는 ICQ가 설치될 때 함께 만들어지는 언인스톨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제작자에 따라 이름이 달라질 수 있다.
필요 없는 프로그램은 빈틈없이 지우자!
언인스톨 기능이 있는 프로그램도 디렉터리만 삭제할 경우에는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
가/삭제' 목록에 그대로 남아 있다. 이는 사용되지 않는 유령 레지스트리 정보를 남기
는 것이므로 이 경우 역시 시스템 속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 때는 다음
과 같이 레지스트리에서 언인스톨러 정보를 찾아 삭제해 주어야 한다.
1.작업 표시줄의 '시작→실행'을 누르면 실행 창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Regedit'를 입력
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시킨다.
2. 'HKEY_LOCAL_MACHINE', 'SOFTWARE', 'Microsoft', 'Windows', 'CurrentVersio
n', 'Uninstall'을 차례로 클릭하면 현재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에 등록되어 있
는 프로그램들의 정보가 모두 나타난다.
3. 목록 중에서 삭제할 프로그램의 정보를 골라 [Del] 키로 삭제한다.
오류에도 끄떡없는 비상용 언인스톨 배치 파일 만들기
설치한 프로그램에 언인스톨 기능이 없다면 디렉터리를 지우고 직접 레지스트리
와 'system.ini', 'win.ini' 파일 등을 수정해 주어야 한다. 이 때 실수로 데이터를 잘못
건드리면 윈도나 응용 프로그램에 치명적인 오류를 유발할 수도 있다. 실행 파일을 찾
을 수 없다는 메시지가 뜨거나 다른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 오류 등이 바로 이런 경
우이다.
언인스톨 정보가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다 안전한 것은 아니다. 레지스트리 정보가 훼손
되거나 삭제되면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도 항목이 사라지기 때문에 설치
된 프로그램을 지우기가 더 어려워진다. 예기치 못한 오류나 실수로 인해 하드디스크에
필요 없는 프로그램의 잔재가 남는 것을 막으려면 언인스톨 전문 배치 파일을 미리 제작
해 둔다.
1.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시켜 차례로
'HKEY_LOCAL_MACHINE', 'SOFTWARE', 'Microsoft',
'Windows', 'CurrentVersion', 'Uninstall'을 선택한다.
2. 원하는 프로그램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Uninstallstring' 항목을 클릭한 다음 '수정'을 선택한다.
<ㅡ
3. '스트링 편집' 창의 두 번째 항목을 키로 복사한다.
ㅡ>
4. 메모장에서 로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은 다음 '파일→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한
다.
<ㅡ
5. 원하는 파일 이름을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파일 형식'에서 '모든 파일
(*.*)'을 선택해 이름 뒤에 '.bat'라는 확장자를 붙여준다.
Part 6 작은 아이콘이라고 무시하지 말자 청결한 트레이 유지하기
트레이(Tray)는 윈도 95부터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작은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
도록 태스크바(Taskbar)의 일부분에 영역을 나누어놓은 것이다. 여기에 등록된 아이콘
이 트레이 아이콘(Tray Icon)인데,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윈도 기본 트레이 아이콘 삭제하기
윈도 98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트레이에 '한영 전환', '작업 스케줄러', '볼륨' 등 3가
지 아이콘이 등록된다. '볼륨' 아이콘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거의 사용하지 않는 아이콘
이다. 윈도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트레이 아이콘을 제거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과
정을 거쳐야 한다.
1.'한글 전환' 아이콘을 제거하고 싶으면 제어판의 '키보드' 항목을 실행시킨 다음, '언
어' 탭에서 '작업 표시줄에 언어/한글 입력 표시기 나타내기'의 체크를 해제한다.
ㅡ>
2. '작업 스케줄러' 아이콘을 제거하려면 먼저 '작업 스케줄러' 아이콘을 더블클릭해 '예
약된 작업' 창을 띄운다.
<ㅡ
3. 메뉴 중에서 '고급→작업 스케줄러 사용 중지'를 선택한다.
4. '제어판'의 '멀티미디어'를 실행시킨 다음 '오디오' 탭에서 '작업 표시줄에 볼륨 조절
표시'의 체크를 해제해 주면 '볼륨' 아이콘을 제거할 수 있다.
[6] 디스크 조각 모음 알아보기
트레이 구석구석 말끔히 청소하기
트레이 아이콘은 시스템이 동작하는 동안 계속 메모리를 차지하는 요소이므로 필요 없
다면 바로 삭제해 주는 게 좋다. 아이콘을 시스템 트레이에서 제거하려면 보통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팝업 메뉴에서 '삭제'를 선택하면 된다. 하지만 트레이 아이콘은 종
류만큼이나 제거 방법도 각양각색이다. 프로그램 자체에서 제어할 수 있다면 다행이지
만, 삭제 자체가 불가능한 프로그램들도 꽤 있다. 윈도 98은 이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
해 각종 트레이 아이콘을 한꺼번에 제거하거나 등록할 수 있는 시스템 설정 유틸리티를
제공한다.
1. '시작→실행→실행'에서 'msconfig'를 입력해 시스템 설정 유틸리티를 실행시킨다.
ㅡ>
2. '시작프로그램' 탭으로 이동해 부팅과 동시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목록을 확인한다.
<ㅡ
3. 목록 중에서 트레이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체크를 해제하고 '확인' 버튼을 누
른다.
ㅡ>
4.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트레이에서 아이콘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IP
숨어 있는 시작 프로그램 제거하기
시작 프로그램 중에는 시작 프로그램 폴더나 시스템 설정 유틸리티에서 찾을 수 없는 것
들도 있다. 이런 숨어 있는 시작 프로그램을 제거하려면 직접 레지스트리를 수정해야 한
다. 레지스트리 에디터를 실행한 다
음 'HKEY_CURRENT_USER', 'SOFTWARE', 'Microsoft', 'Windows', 'CurrentVersio
n', 'Run'을 차례로 클릭하면 찾는 시작 프로그램의 이름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프로그
램의 항목을 삭제한 다음 재부팅하면 된다.
Part 7 내 시스템을 굼뜨게 만드는 원흉 디스크 조각 날려버리기
윈도는 하드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할 때 FAT(File Allocation) 방식을 이용한다. 이것은
파일을 가장 효율적인 크기로 잘라서 보관하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중간에 다른 데이터
가 있으면 다른 장소를 찾아 저장하고 심한 경우에는 파일 한 개가 하드디스크 군데군
데 흩어져 저장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파일의
조각을 불러오는 과정이 추가되므로, 자연 시스템 속도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 파일들
이 연속적으로 저장되지 않은 경우 이를 순차적으로 재배치하는 작업이 바로 조각 모음
이다.
윈도 98의 디스크 조각 모음은 단지 디스크에 위치한 파일을 한 군데로 모아주는 역할
만 하는 게 아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파일을 디스크의 맨 앞부분으로 옮겨 실행 속도
를 개선시키는 역할까지 담당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어떤 것인지가 기록
되어 있는 로그 파일(Log File)을 참조해 지난 번 조각 모음 이후 변경된 부분을 다시 정
렬해 주는 것이다. 이 때 주의할 점은 조각 모음이 실행되는 동안에는 절대로 PC의 전
원을 끄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디스크 조각 모음을 하면서 다른 작업을 할 수도 있지만, 되도록 디스크 조각 모음을 하
는 동안에는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게 좋다. 만일 디스크 조각 모음 도중에 PC를
사용한다면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느려질 뿐 아니라, 조각 모음에 소요되는 시간도 훨
씬 더 길어진다. PC를 사용한다는 것은 결국 파일을 읽고 쓰는 과정인데, 이 때 조각 모
음 작업을 하게 되면 바뀐 파일을 다시 정렬하기 위해 처음부터 다시 조각 모음을 시작
해야 한다. 단시간 내에 디스크 조각 모음 작업을 마치고 싶다면 PC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해야 할 것이다.
조각 모음 준비에서 시동 걸기까지!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윈도 98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유틸리티보다는 유명 유틸리티
를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별도의 유틸리티를 사용해야 할 이유가 특별히 없
다면 윈도 자체 프로그램만으로도 충분하다. 인터페이스나 동작 방식이 약간 다를 뿐 핵
심적인 기능에는 별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이 각 유틸리티를 적절히 사용해
디스크 검사, 디스크 정리, 디스크 조각 모음 등을 순서대로 진행하면 윈도만으로 충분
히 효율적인 조각 모음을 수행할 수 있다.
1.'시작→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시스템 도구→디스크 검사'를 선택해 디스크 검사
유틸리티를 실행시킨다.
2. '디스크 검사' 창이 나타나면 검사할 드라이브를 선택해 '오류 자동 수정'에 체크한
다음 '시작' 버튼을 누른다.
3. '시스템 도구→디스크 정리'를 선택해 '드라이브 선택' 창에서 정리할 드라이브를 골
라 '확인' 버튼을 누른다.
<ㅡ
4. 제거할 파일의 종류를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필요 없는 파일이 말끔히 제거
된다.
ㅡ>
5. 마지막으로 '시스템 도구'에서 '디스크 조각 모음'을 선택해 조각모음을 실행할 드라
이브를 고른다음 '확인' 버튼을 누른다.
<ㅡ
6. '시스템 도구→디스크 정리'를 선택해 '드라이브 선택' 창에서 정리할 드라이브를 골
라 '확인' 버튼을 누른다.
윈도 스왑 파일 축소로 조각 모음 속도 높이기
윈도 98은 메모리의 용량에 관계 없이 항상 하드디스크에 'WIN386.SWP'이라는 윈도 스
왑 파일을 만든다. 가상 메모리를 만드는 이 스왑 파일은 보통 수백 MB를 넘는 경우가
많으며, 윈도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지우거나 삭제할 수 없다. 이처럼
움직일 수 없는 대용량의 파일이 하드디스크를 차지하고 있으면 조각 모음의 속도뿐 아
니라 효과까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각 모음 전에 먼저 다음과 같이 스왑 파일의 크
기부터 줄여주는 게 좋다.
1. '시작→설정→제어판'에서 '시스템' 항목을 실행시킨 다음 '성능' 탭으로 이동해 '가
상 메모리'를 선택한다.
2. 항목 중 '사용자가 직접 가상 메모리 설정을 관리'를 선택해 가상 메모리의 최소 값
과 최대 값을 설정해 준다. 실제 메모리의 1.5배 정도가 적당하다.
항목 중 '사용자가 직접 가상 메모리 설정을 관리'를 선택해 가상 메모리의 최소 값과 최
대 값을 설정해 준다. 실제 메모리의 1.5배 정도가 적당하다.
[7] 이메일과 바이러스 관리법
Part 8 방심하면 내 시스템에 엉겨버리는 이메일과 바이러스 관리법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 청소, 백업 등에는 많은 노력을 기울이면서도 이메일 관리는 소
홀한 경우가 많다. 바이러스가 노리는 채널이 이메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허술한 관리
는 결국 PC를 바이러스의 온상으로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또 아무리 용량
이 작은 이메일이라도 하나 둘씩 쌓여 몇 달 동안 방치된다면 하드디스크에 상당한 부담
을 줄 수 있다. 인터넷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이메일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
하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메일은 다음과 같이 헤더, 본문, 맺음말, 첨부 파일로 이뤄져 있다. 첨부 파일은 선택
사항이지만 나머지는 대부분의 이메일 형식이 사용하는 구조이다.
헤더 : 이메일에 대한 정보
본문 : 이메일의 내용
맺음말 : 사용자 정의 맺음말
첨부 파일 : 이메일과 함께 보낼 파일
헤더는 이메일 앞에 붙는 고유 신호로, 메일이 어떤 성격인지 알아볼 수 있도록 한 세계
공통 규약이다. 본문은 메시지를 작성할 때 입력하는 실제 내용을 말하며 맺음말은 이메
일 작성을 마친 후 넣는 자신만의 특별한 사인이다. 맺음말은 편지지 형식으로 미리 만
들어두고 발송시 자동 입력되도록 해주면 된다. 첨부 파일은 말 그대로 이메일과 함께
보내는 별도의 파일이다.
이 중에서 가장 관심 있게 봐야 할 것이 바로 첨부 파일이다. 이메일 구성 요소 중 가장
큰 용량을 차지하는 부분이자, 바이러스가 묻어오는 경로이다.
아웃룩 익스프레스 같은 이메일 클라이이언트는 한 개의 편지 보관함을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보관하므로 필요 없는 첨부 파일을 그때그때 정리해 주지 않으면 처치 곤란한 용
량 큰 편지함이 되어버린다.
이메일 바이러스 완벽 차단하기
사용자들의 나쁜 습관이 이메일 바이러스의 확산을 부채질하고 있다. 대부분의 이메일
사용자들은 프로그램의 편리성과 기능성만 생각했지, 바이러스 예방은 뒷전이다. 러브
바이러스가 그렇게 빨리 번질 수 있었던 것은 주소록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바
이러스 복사본을 발송하는 일명 스푸핑(Spoofing)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메일 바이러스의 피해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우선 출처가 의심되는 이메일은 바로
삭제해야 한다. 그런 다음 백신 프로그램의 이메일 감시기능을 이용해 이메일을 수신할
때마다 항상 바이러스 감염여부 먼저 체크해야 한다.
1. 대부분의 백신 프로그램에서는 이메일 감시 기능을 제공한다. 하우리의 바이 로봇에
서는 '인터넷 감시기'로 설정한다.
2. 원하는 계정의 항목을 체크해 주면, 앞으로 이 계정으로 수신되는 모든 메일은 사용
자에게 도착하기 전에 바이러스 검사부터 받게 된다.
깔끔한 편지 보관함을 위한 이메일 삭제와 백업
이메일을 정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폴더를 나눠 종류별로 분류하는 것이다. 아웃룩
익스프레스의 메시지 규칙 기능을 이용하면 이메일이 수신될 때마다 자동으로 지정된
폴더로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필요 없는 이메일은 즉시 삭제하고 오래된 편지
는 따로 백업함으로써 편지 보관함을 항상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ㅡ
1.아웃룩 익스프레스에서 삭제한 이메일은 '지운 편지함'으로 이동하므로, '지운 편지
함'으로 가서 다시 한 번 삭제해 줘야만 완전히 지울 수 있다.
ㅡ>
2. 만약 이 같은 작업이 번거롭다면 '도구→옵션' 메뉴를 실행시킨 다음 '유지 관리' 탭
의 '끝날 때 지운 편지함 지우기' 항목을 체크하면 아웃룩 익스프레스를 종료할 때 '지
운 편지함'의 이메일이 자동으로 삭제된다.
<ㅡ
3. 오래 되어 더 이상 업데이트되지 않는 편지 보관함은 따로 백업해 두고 원본은 삭제
한다. 백업할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다음 '등록 정보'를 선택한다.
ㅡ>
4. '이 폴더가 저장될 파일'에 있는 편지 보관함 파일을 임의의 폴더에 복사한다. 경로
가 잘린 것처럼 보일 때는 마우스로 드래그해 완전한 경로를 확인한다.
<ㅡ
5. 백업한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다음 '삭제'를 선택한다.
ㅡ>
6.'파일→가져오기→메시지'로 백업한 편지함 파일을 불러들여 지운 이메일을 다시 복
구할 수도 있다.
텍스트 파일로 변환해 이메일 무게 줄이기
아웃룩 익스프레스에는 이메일을 HTML이나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이 있다. 백
업할 이메일의 용량이 너무 커서 부담이 될 때 주로 이 기능을 사용한다. 간단한 메시지
를 담은 이메일인 경우에는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고 원본은 바로 삭제하면, 하드디스크
공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ㅡ
1. 텍스트 파일로 변환할 이메일을 선택한 다음 더블클릭으로 메시지 창을 연다.
ㅡ>
2. '파일→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해 '파일 형식'을 '텍스트(*.txt)'로 바꿔준다.
<ㅡ
3. 파일 이름과 저장할 경로를 지정하고 '저장' 버튼을 누르면 이메일의 내용이 텍스트
파일로 저장된다.
출처 : 깜보웹스쿨
[2] 스캔 디스크 알기①
[3] 스캔 디스크 알기②, DLL 정리
[4] 레지시트리 찌꺼기 버리기
[5] 언인스톨 목록?r트레이 정리
[6] 디스크 조각 모음 알아보기
[7] 이메일과 바이러스 관리법
[1] 템포러리와 캐시정리
여러분의 PC는 생생합니까? PC가 너무 굼뜬 것 같지는 않나요? 사실 PC가 쓸수록 느
려지는 데에는 사용자의 잘못도 큽니다. 윈도를 쓰면서 단 한 번도 스캔디스크를 해본
적이 없거나 레지스트리 관리가 뭐냐고 되묻는 분들이라면 더욱 그렇지요. 하우피씨가
윈도에 끼인 때를 말끔하게 청소하는 방법과 윈도의 핵심 원리를 이용한 윈도 관리 팁들
을 모두 공개합니다. 해묵은 윈도 체증이 확 풀릴 것입니다.
체계적인 윈도 대청소 체크 포인트
□ 1. 윈도가 있는 'C:\' 하드디스크의 '등록 정보'를 확인해 본인의 시스템 상태를 면밀
히 검토하라.
□ 2. 템포러리와 캐시 폴더를 완벽하게 비운다.
□ 3. 사용하지 않는 파일을 속속들이 찾아내 없앤다.
□ 4. 글꼴을 정리해 윈도 부팅 속도를 높인다.
□ 5. 손상된 시스템 파일을 복구한다.
□ 6. 사용되지 않는 DLL 파일을 찾아 삭제한다.
□ 7. 레지스트리를 백업하고 복원한다.
□ 8. 그래도 못 미더우면 레지스트리를 최적화한다.
□ 9. 레지스트리 찌꺼기를 말끔히 청소한다.
□ 10. 필요 없는 프로그램은 확실히 제거한다.
□ 11. 오류에도 끄떡없는 언인스톨 배치 파일을 만든다.
□ 12. 필요 없는 트레이 아이콘을 선별한다.
□ 13. 트레이 아이콘을 완벽하게 삭제한다.
□ 14. 스캔디스크로 하드디스크의 오류를 잡아낸다.
□ 15. 디스크 조각 모음으로 하드디스크를 최적화한다.
□ 16. 이메일 바이러스 완벽하게 차단한다.
□ 17. 이메일을 정리해 깔끔한 편지 보관함을 만든다.
□ 18. 메일을 텍스트 파일로 변환해 메일 함의 무게를 줄인다.
□ 19. 시스템에 엉겨붙은 바이러스를 제거한다.
□ 20. 지금까지 배운 윈도 청소 방법을 토대로, 지속적으로 윈도의 청결을 유지한다.
Part 1 시스템 자원을 좀먹는 '템포러리'와 '캐시'는 가라!
PC에 있는 파일 중에는 불필요한 것도 있다. 예를 들어 'C:\Windows\Temp' 디렉터
리에 있는 TMP 파일은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수행하는 과정에서 임시로 만들어졌다
가 그대로 남은 경우이다. 이런 파일을 마냥 보관하고 있다는 것은 자원의 낭비일 뿐 아
니라 시스템 속도 저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윈도는 지운 파일들을 휴지통에 임시로 보관한다. 파일을 지우면 휴지통이라는 정해진
공간이 다 찰 때까지 계속 파일이 저장된다. 또한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상에서 열어본
웹페이지를 일단 'Temporary Internet Files'라는 폴더에 저장해 놓는다. 웹페이지에서
자동 다운로드한 액티브X 컨트롤과 자바 애플릿도 함께 저장한다.
휴지통 에 일주일 이상 방치된 파일이 있다면 제거하는 게 좋다. 2GB의 하드디스크에
서 휴지통이 차지하는 공간은 약 200MB 정도인데,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용량이다.
템포러리와 캐시 폴더 완벽하게 비우기
C:\Windows\Temp 와 C:\Windows\Temporary Internet Files 폴더 안의 불필요
한 파일을 지우다 보면 삭제가 불가능한 것들이 발견된다. 이런 경우는 사용 중인 파일
들이므로 관련 프로그램을 종료해야만 삭제할 수 있다. 폴더를 보다 확실하게 비우고 싶
으면 아래와 같이 도스 모드로 부팅한 다음 작업한다.
1. 시작→시스템 종료→MS-DOS 모드에서 시스템 다시 시작을 선택한 다음 확인 버튼
을 누른다.
2. 도스 모드로 재부팅해 CD C:\Windows\Temp 명령을 실행시킨 다음 템포러리 폴
더로 이동한다.
3. Del *.* 명령을 실행시키면 디렉터리 안의 파일들이 모두 삭제된다. 다시 윈도 98로
돌아가C:\Windows\Temporary Internet Files 디렉터리 안의 파일들도 모두 삭제해
준다.
못지우는 것 빼고 다 지우자!
하드디스크의 불필요한 파일들 중에는 디스크 정리 기능으로 찾아낼 수 없는 것들도 있
다. 응용 프로그램이나 윈도 오류로 인해 생겨난 파일들이다. 이런 파일들까지 완벽하
게 삭제하려면 약간 번거롭더라도 다음과 같은 작업을 거쳐야 한다.
1. 시작→찾기→파일 또는 폴더 를 선택해 이름 에 *.TMP 를 입력한 다음 지금 찾기 버
튼을 누른다.
2. 확장자가 .tmp 인 파일들이 검색되면 모두 선택해 [Del] 키로 삭제한다.
3. 같은 방법으로 BAK, CHK, GRP, OLD, $$$ 등을 확장자로 가진 파일들도 모두 삭제
해 준다.
[2] 스캔 디스크 알기①
필요 없는 글꼴을 삭제해 부팅을 빠르게!
통상적으로 글꼴 수와 부팅 속도는 반비례한다. 윈도는 부팅시 글꼴에 대한 정보를 모
두 읽어들이기 때문에 글꼴이 많아지면 그만큼 정보를 읽는 시간도 길어질 수밖에 없
다. 윈도가 제대로 관리 가능한 글꼴 수는 고작 500개 정도에 불과하므로 부팅 속도를
향상시키려면 필요 없는 글꼴은 과감히 삭제해 주어야 한다.
1.윈도에서 시작→제어판 을 선택해 글꼴 항목을 실행시킨다.
2. C:\Windows\Font 폴더가 열리며 현재 윈도에서 사용하고 있는 폰트의 목록이 나
타난다. 폰트 항목을 더블클릭해 필요 없는것은 삭제한다.
3. 메뉴 중 유사성 아이콘을 클릭해 유사성을 비교한 후 필요 없는 것은 삭제한다.
글꼴을 삭제할 때는 유사한 글꼴, 그 중에서도 특히 비트맵 글꼴부터 삭제한다. 빨간색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들은 시스템 폰트이므로 삭제하지 않는 게 좋다.
TIP 임시 파일이 생기면 알아서 척척 지워버린다
임시 파일을 모아놓았다가 정기적인 윈도 대청소 때 한꺼번에 지우는 것조차 귀찮아하
고, 하드디스크가 1~2MB밖에 남지 않았다는 적신호가 나타날 때쯤에야 부랴부랴 삭제
하는 사용자들에게 딱 맞는 팁 하나를 공개하려 한다. autoexec.bat 파일을 변형해 임
시 파일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1. C:\ 디렉터리에 있는 autoexec.bat 파일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편집
을 선택한다. 만약 편집 메뉴가 없다면 연결 프로그램 을 메모장 으로 지정한다.
2. 메모장이 열리면 맨 마지막 줄에 DEL C:\Windows\Temp\*.tmp 를 입력하고 파
일을 저장한다. 이제 임시 파일은 생성되자마자 자동으로 제거될 것이다.
Part 2 윈도 95부터 쭉 이어온 스캔디스크, 모르면 후회할 걸?
윈도가 첫선을 보인 1995년부터 포함되어 있던 스캔디스크(ScanDisk)라는 가능이 있
다. 이 스캔디스크에는 비정상적으로 시스템이 꺼진 후 나타나는 도스 버전과 정상적으
로 시스템을 끈 후에야 사용할 수 있는 윈도 버전, 2가지가 있다. 이 2가지 스캔디스크
모두 디스크의 파일 할당 테이블(FAT, File Allocation Table), 긴 파일 이름, 파일 시스
템 구조(로스트 클러스터, 크로스 링크 파일), 디렉터리 트리 구조, 드라이브의 물리적
표면(불량 섹터), 드라이브 스페이스 볼륨 구조 등을 체크하고 수정하는 것이 주요 임무
이다.
일단 스캔디스크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자. 하드디스크는 크게 FAT, 디렉터리, 사
용자 데이터 등 3가지 공간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FAT는 디스크의 어떤 부분이 사용
가능한지 또는 불가능한지 등의 정보(트랙)를 기억하는 곳이고, 디렉터리는 개별 파일
들의 속성과 파일의 이름 등을 보관하는 곳이며, 디스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사용
자 데이터는 모든 종류의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는 공간이다.
파일을 열었다가 제대로 닫지 않은 경우나 애플리케이션을 제대로 종료시키지 않은 경
우, 임시 파일을 적절히 저장하거나 삭제하지 않았을 경우, 정상적으로 종료하지 않고
작업 도중에 컴퓨터 전원을 내린 경우에 로스트 크러스터가 발생한다.
어떤 파일이 어떤 클러스터를 사용하는지는 윈도 98의 FAT에 저장된다. 다행히 로스트
클러스터에는 유용한 데이터가 거의 없지만, 여러 차례에 걸쳐 쌓인 로스트 클러스터는
디스크 공간을 낭비하는 요인이 된다.
스캔디스크 실행시 로스트 클러스터를 파일로 저장하면 루트 디렉터리에 FILE000.CHK
라는 파일이 저장된다. 보통은 그냥 삭제해도 무방하지만 파일에 유용한 정보가 들어 있
는 건 아닌지 의심스럽다면 도스 모드에서 ore다음 삭제한다. 이 때 파일 내용이 텍스트 형태라면 어떤 데이터에서 문제가 발생했는
지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바이너리 형태라면 어떤 파일에 문제가 생겼는지 추측해 내
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스캔디스크를 작동하는 도중에는 오류 자동 수정 기능을 사용하
지 않도록 하고, 어떤 디렉터리에서 디스크 점검이 멈추는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ㅡ PC의 전원이 갑자기 꺼졌을 경우의 스캔디스크 작업
PC의 전원이 갑자기 꺼지면 디렉토리 정보나 사용자 데이터가 올바른 FAT에 저장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이러한 부분이 발견되면 윈도는 스캔디스크를 자동으로
실행시키고 파일 조각을 적절한 자리에 배치해준다.
배드 섹터가 생겼을 때의 스캔디스크 작업 ㅡ>
하드디스크 중 일부분이 더 이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을 만큼 손상된 경우, 배드 섹터
(Bad Sector)라 부른다. 스캔디스크는 배드 섹터를 만나면 프로그램이 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표시해 준다.
<ㅡ 크로스 링크 오류가 발생했을 때의 스캔디스크 작업
오류로 인해 서로 다른 파일이 같은 사용자 데이터 구역에 저장되었을 경우에 스캔디스
크는 크로스 링크 오류(Cross Link Errors) 메시지를 출력하고 겹친 파일을 다른 사용
자 데이터 구역으로 옮겨준다.
[3] 스캔 디스크 알기②, DLL 정리
손상된 시스템 파일 감쪽같이 되살리기
잘 실행되던 프로그램이 새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갑자기 작동되지 않는 수가 있다. 특
히 한글 윈도에서 영문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경우에 이런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데, 이
경우 DLL 파일 같은 시스템 파일이 영문 버전으로 교체되면서 한글 버전 DLL 파일을 사
용하는 다른 프로그램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실수로 시스템 파일을 지우는 바람
에 프로그램 실행에 문제가 생기거나 PC가 다운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는 시스템 파
일 검사기를 이용하면 쉽게 복구할 수 있다.
1.'시작→실행'을 선택해 'sfc.exe'를 입력한 다음 '확인' 버튼을 누른다.
2.. '시스템 파일 검사기'가 실행되면 2가지의 옵션 선택 메뉴가 나타난다.
'변경된 파일 검색'은 변경되거나 손상된 파일을 자동으로 찾아주는 옵션이다.
사용자가 손상된 파일이 어떤 것인지 알고 있는 경우에는 '설치 디스크에서 한 파일의
압축 해제'를 선택한다. 그러면 윈도 98의 설치 CD에서 압축 파일을 찾아 자동으로 설
치해 줄 것이다.
3. '시스템 파일 검사기' 오른쪽 맨 아래의 '설정' 버튼으로 파일 검사기의 설정 사항을
변경한다.
4. '변경된 파일 검색' 항목을 선택하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시스템 파일 검사기'가 변
경되며 손상된 파일을 검색한다. 손상된 파일이 발견되면 화면처럼 파일 이름과 위치,
원하는 옵션 설정 내용 등이 나타난다.
스캔디스크 잠재우기
윈도 98에서는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는 다음 부팅시 자동으로 스캔디스크가 실행된
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소 불편할 수
도 있는 기능이다. 비정상 종료 후 자동으로 스캔디스크가 실행되는 것을 막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을 변경해 주면 된다.
1.'시작→실행'을 선택하고 'msconfig'를 입력한 다음 '확인' 버튼을 누른다.
2.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 창이 나타나면 오른쪽 아래의 '고급' 버튼을 누른다.
3. 항목 중간에 있는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종료해도 디스크 검사를 안 함'에 체크하
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Part 3 손대기 힘들었던 시스템 파일, 쓸모 없는 'DLL' 완전 소탕
컴퓨터의 모든 작업은 RAM(Random Access Memory)이라 불리는 작은 메모리 칩 안
에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윈도 95나 98에서는 여
러 프로그램의 실행과 종료를 장시간 반복하다 보면 시스템 속도는 점점 더 느려진다.
예를 들어 현재 메모리의 여분이 30MB라면 12MB를 차지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했다가
종료해도 똑같이 30MB의 메모리 여분이 남아야 하지만, 실제로는 28MB 정도로 용량
이 줄어든다. 이는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로딩되었던 DLL 파일들이 삭제되
지 않은 채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쓸모 없는 DLL 파일들로 메모리 공간이 가득 차게 되면 윈도 95․98은 하드디스크를 메모
리처럼 사용하는 스왑(Swap) 메모리 기법으로 부족한 공간을 충당한다. 정상적으로는
속도가 느린 스왑 메모리에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만 임시로 저장하고 주요 작업
은 실제 메모리에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변환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
우에는 시스템 속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윈도 95․98은 메모리의 대부분
을 파일 관리를 위한 캐시로 설정하기 때문에 정작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는 메모리가 부
족해 제대로 동작이 되지않는 경우가있다.
얼굴 없는 DLL 단번에 구별하기
윈도의 시스템 폴더나 기타 프로그램의 폴더에서 자주 볼 수 있는 DLL(Dynamic Link
Library) 파일은 모두 2개의 기어가 맞물려 돌아가는 모양의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따라
서 웬만한 고급 사용자도 어느 파일이 어느 프로그램과 관련된 것인지 알아내기 힘들
다. 하지만 레지스트리 정보만 조금 수정해 주면 이 DLL 파일의 본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1. '시작→실행'을 선택해 'Regedit'를 입력한 다음 '확인' 버튼을 눌러 '레지스트리 편집
기'를 실행시킨다.
2. 'HKEY_CLASSES_ROOT', 'Dllfile', 'DefaultIcon' 폴더를 차례로 눌러 '기본값'이라
는 항목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수정'을 선택한다.
3. 기본값을 '%1'로 바꾸고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종료하면 각 DLL 파일이 고유의 아이
콘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고유 아이콘이 없는 DLL 파일은 윈도 기본 아이콘으로 나
타난다.
클린 시스템으로 DLL 파일 청소 끝내기
프로그램 실행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DLL은 여러 프로그램이 서로 공유하는 파일이므
로 전문가가 아니라면 손대지 않는 것이 좋다. 만약 DLL 파일이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너무 많이 차지하고 있어 반드시 정리해야 하는 경우라면 클린 시스템(Clean System)
같은 DLL 전용 삭제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1.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간단한 메인 화면이 나타난다. 'Scan drives→드라이브'를
선택한 다음 'Start Scanning'을 누르면 바로 삭제할 DLL 파일 검색이 시작된다.
2. 사용하지 않는 DLL 파일의 목록이 나타나면, 삭제할 파일을 선택한 다음 'OK' 버튼
을 누른다. 시스템 폴더에서 DLL 파일이 지워지고 'C:\Windows\system\bkupdlls'
폴더에 백업 파일이 저장될 것이다.
[4] 레지시트리 찌꺼기 버리기
Part 4 그냥 놔두면 군살 된다! 레지스트리 찌꺼기 모두 버리기
레지스트리(Registry)는 윈도를 구성하는 데이터들이 총 집결되어 있는 중앙 저장소, 혹
은 계층적인 데이터베이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윈도의 시스템, 하드웨어, Win32 기반 응
용 프로그램 등에 관련된 구성 정보와 사용자 정보가 모두 이 레지스트리에 기록된다.
윈도가 레지스트리를 채용한 것은 명령 처리 속도를 향상시켜 리얼 모드 메모리를 최소
화하기 위해서다. 윈도 95 이전의 윈도 3.X에서는 'Win.ini'와 'System.ini'라는 파일에
각종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저장했었다. 그러나 기록된 내용을 한 줄씩 읽어들이다 보
니 부팅 시간이 너무 길어졌고 메모리 낭비도 심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윈도 95부터는 윈도 NT에서 사용하던 레지스트리라는 개념을 도입한 것이
다.
레지스트리 구조는 6개의 서브루트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서브루트 밑에는 하드웨
어, 소프트웨어,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가 수없이 많이 나열되어 있다.
TIP HKEY-CLASSES-ROOT : OLE 데이터와 파일 확장자에 대한 정보, 각 파일과 프
로그램 간 연결에 관한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 루트에 포함되어 있는 확장자 목록
을 클릭하면 오른쪽 창에 연결 프로그램의 이름이 나타난다.
HKEY-CURRENT-USER : 컴퓨터 환경 설정에 관한 정보가 담겨 있는 곳이다. 이 곳에
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윈도의 상태, 제어판 설정, 키보드 형식, 최근 설치한 프로그램
의 위치, 네트워크 사용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HKEY-LOCAL-MACHINE : 컴퓨터에 설치된 하드웨어와 그 하드웨어를 구동시키는 데
필요한 드라이버와 설정 사항 등이 모인 곳이다.
HKEY-USERS : 저장된 전체 정보와 데스크톱 설정,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저장되어 있
다.
HKEY-CURRENT-CONFIG : 간단하게 디스플레이와 프린터에 관한 설정만 포함되어
있다.
HKEY-DYN-DATA :ConfigManager와PerfState라는 2개의 서브키를 갖고있다. 윈도의
모니터 역할만 담당한다.
레지스트리를 저장하는 파일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첫번째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담고 있는 'User.dat' 파일이다. 윈도 98이나 Me에서는 C 드라이브에 설치한 윈도
가 'C:\windows' 폴더에 저장되고, 윈도 2000에서는 'C:\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에 'Ntuser.dat'라는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 별도의 위치가 정
해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 파일이 없더라도 염려할 필요는 없다.
두 번째는 'System.dat' 파일이다. 이 파일에는 하드웨어나 PC와 관련된 설정들, 즉 하
드웨어 초기화 파일과 관련된 정보가 담겨져 있다. 이 파일은 윈도의 모든 플러그&플레
이 설정과 하드웨어 구성, 응용 프로그램 설정 등을 저장하고 있다. 윈도 98과 Me에서
는 파일의 중요성 때문에 보호 모드인 숨김 파일로 지정되어 있다. 이 파일을 보려면 폴
더 옵션에서 '숨김 파일 및 폴더 표시'에 체크해 주어야 한다.
레지스트리 백업하기
프로그램 설치와 제거를 반복하다 보면 이전 프로그램의 레지스트리 정보가 삭제되지
않고 남아서 말썽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윈도의 알 수 없는 오류는 바로 이 레지스트
리가 원인일 경우가 많다. 따라서 덩치 큰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전이나 레지스트리를 손
봐야 할 경우에는 반드시 레지스트리를 백업해 두어야 한다.
1.'시작→실행'을 선택하거나 '시작→프로그램→한글 MS→DOS'를 선택
해 'Scanregw'를 실행한다.
2. 레지스트리 검사 프로그램이 레지스트리를 검사해 자동으로 백업을 마친다. 레지스
트리는 'Windows' 폴더에 'system.dat'와 'user.dat라는 파일로 저장된다.
3. 부팅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될 때에는 수동으로 레지스트리를 복원한다. 도스 모드로
부팅한 다음 'scanreg/restore'를 실행시키면 된다.
4. 레지스트리 파일이 여러 개 백업된 경우에는 목록이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복원하고
자 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복원이 완료된다.
레지스트리 최적화하기
설치된 프로그램이 많으면 레지스트리 파일이 커지고, 메모리로 불러올 정보도 많아진
다. 이런 경우에는 시스템 성능 저하뿐만 아니라 정확히 프로그램과 연결되지 않으면 치
명적인 오류를 유발할 수도 있다.
레지스트리를 최적화시키면 그만큼 시스템의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윈도 98에서
는 윈도 95에서 사용하던 Regclean이라는 윈도 최적화 프로그램은 사용할 수 없다.
1.'C:\Windows' 폴더로 이동해 레지스트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system.dat' 파일
의 크기를 확인한다. 3MB 이상이라면 레지스트리 최적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2. 도스 모드로 부팅한 다음 'C:\Windows\Command'에서 'scanreg /fix' 명령을 실
행시키면 연결된 프로그램을 검사해 오류를 유발할 수 있는 레지스트리의 정보를 수정
한다.
이지클리너로 레지스트리 찌꺼기 제거하기
잦은 프로그램의 설치와 제거로 인해 누적된 '유령' 레지스트리는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해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레지스트리 청소 유틸리티를 이용해 주기적으로 찌꺼기를
청소하면 된다. 레지스트리를 오랫동안 관리하지 않았거나 원인 모를 오류가 발생했다
면 다음과 같이 이지클리너로 레지스트리의 찌꺼기를 말끔히 청소해 보자. 이 때 만일
의 사태에 대비해 레지스트리를 백업해 두어야 한다.
1.이지클리너를 실행시킨 다음 메인 화면에서 'Clean registry' 버튼을 누른다.
2. 'Clean registry' 창에서 'Find' 버튼으로 사용되지 않는 유령 레지스트리를 검색한
다.
3. 찾아낸 유령 레지스트리의 목록 중 'String value'와 'File/path reference' 항목을 살
펴본 다음 필요 없는 레지스트리는 'Delete' 버튼으로 삭제한다.
4. 만약 검색된 레지스트리가 모두 필요 없는 것이라면 'Select all→Delete' 버튼으로
한꺼번에 삭제한다.
[5] 언인스톨 목록.트레이 정리
Part 5 지울 프로그램은 흔적도 없이 깨끗이!
한 조각의 파일도 남기지 않는 '언인스톨'
윈도용 응용 프로그램은 설치시 실행에 필요한 파일을 여러 디렉터리에 나누어 보관한
다.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렉터리 외에 윈도가 설치된 디렉터리(C:\WINDOWS)와 시스
템 디렉터리(C:\WINDOWS\SYSTEM) 등에도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드라이버
와 데이터 파일을 만들어두는 것이다. 따라서 디렉터리만 삭제한다고 프로그램이 완전
히 지워지는 건 아니다.
프로그램을 완전히 삭제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기
능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설치된 프로그램 자체에서 지원하는 언인스톨
(Uninstall) 기능인데, 하드디스크 구석구석 흩어져 있는 프로그램 파일을 찾아내 완전
히 삭제하는 게 그의 임무다. 언인스톨 정보는 프로그램 설치시 레지스트리에 자동 입력
된다. 각 항목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TIP
기본값 : 언인스톨 정보와 무관
Displayname :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기능에 나타나는 이름
Uninstallstring : 언인스톨 프로그램의 경로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맨 마지막의 Uninstallstring 항목인데, 이것은 도스의 배
치(BAT) 파일처럼 작동해 프로그램의 경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제어판'의 '프로
그램 추가/삭제' 항목을 실행시킨 다음 'ICQ→추가/삭제' 버튼을 누르면 윈도는 레지스
트리에 등록된 대로 'C:\PROGRA~1\ICQ\ICQUninstall.EXE'를 실행시킨다. 여기
서 'ICQUninstall.EXE'는 ICQ가 설치될 때 함께 만들어지는 언인스톨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제작자에 따라 이름이 달라질 수 있다.
필요 없는 프로그램은 빈틈없이 지우자!
언인스톨 기능이 있는 프로그램도 디렉터리만 삭제할 경우에는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
가/삭제' 목록에 그대로 남아 있다. 이는 사용되지 않는 유령 레지스트리 정보를 남기
는 것이므로 이 경우 역시 시스템 속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 때는 다음
과 같이 레지스트리에서 언인스톨러 정보를 찾아 삭제해 주어야 한다.
1.작업 표시줄의 '시작→실행'을 누르면 실행 창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Regedit'를 입력
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시킨다.
2. 'HKEY_LOCAL_MACHINE', 'SOFTWARE', 'Microsoft', 'Windows', 'CurrentVersio
n', 'Uninstall'을 차례로 클릭하면 현재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에 등록되어 있
는 프로그램들의 정보가 모두 나타난다.
3. 목록 중에서 삭제할 프로그램의 정보를 골라 [Del] 키로 삭제한다.
오류에도 끄떡없는 비상용 언인스톨 배치 파일 만들기
설치한 프로그램에 언인스톨 기능이 없다면 디렉터리를 지우고 직접 레지스트리
와 'system.ini', 'win.ini' 파일 등을 수정해 주어야 한다. 이 때 실수로 데이터를 잘못
건드리면 윈도나 응용 프로그램에 치명적인 오류를 유발할 수도 있다. 실행 파일을 찾
을 수 없다는 메시지가 뜨거나 다른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 오류 등이 바로 이런 경
우이다.
언인스톨 정보가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다 안전한 것은 아니다. 레지스트리 정보가 훼손
되거나 삭제되면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도 항목이 사라지기 때문에 설치
된 프로그램을 지우기가 더 어려워진다. 예기치 못한 오류나 실수로 인해 하드디스크에
필요 없는 프로그램의 잔재가 남는 것을 막으려면 언인스톨 전문 배치 파일을 미리 제작
해 둔다.
1.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시켜 차례로
'HKEY_LOCAL_MACHINE', 'SOFTWARE', 'Microsoft',
'Windows', 'CurrentVersion', 'Uninstall'을 선택한다.
2. 원하는 프로그램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Uninstallstring' 항목을 클릭한 다음 '수정'을 선택한다.
<ㅡ
3. '스트링 편집' 창의 두 번째 항목을 키로 복사한다.
ㅡ>
4. 메모장에서 로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은 다음 '파일→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한
다.
<ㅡ
5. 원하는 파일 이름을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파일 형식'에서 '모든 파일
(*.*)'을 선택해 이름 뒤에 '.bat'라는 확장자를 붙여준다.
Part 6 작은 아이콘이라고 무시하지 말자 청결한 트레이 유지하기
트레이(Tray)는 윈도 95부터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작은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
도록 태스크바(Taskbar)의 일부분에 영역을 나누어놓은 것이다. 여기에 등록된 아이콘
이 트레이 아이콘(Tray Icon)인데,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윈도 기본 트레이 아이콘 삭제하기
윈도 98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트레이에 '한영 전환', '작업 스케줄러', '볼륨' 등 3가
지 아이콘이 등록된다. '볼륨' 아이콘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거의 사용하지 않는 아이콘
이다. 윈도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트레이 아이콘을 제거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과
정을 거쳐야 한다.
1.'한글 전환' 아이콘을 제거하고 싶으면 제어판의 '키보드' 항목을 실행시킨 다음, '언
어' 탭에서 '작업 표시줄에 언어/한글 입력 표시기 나타내기'의 체크를 해제한다.
ㅡ>
2. '작업 스케줄러' 아이콘을 제거하려면 먼저 '작업 스케줄러' 아이콘을 더블클릭해 '예
약된 작업' 창을 띄운다.
<ㅡ
3. 메뉴 중에서 '고급→작업 스케줄러 사용 중지'를 선택한다.
4. '제어판'의 '멀티미디어'를 실행시킨 다음 '오디오' 탭에서 '작업 표시줄에 볼륨 조절
표시'의 체크를 해제해 주면 '볼륨' 아이콘을 제거할 수 있다.
[6] 디스크 조각 모음 알아보기
트레이 구석구석 말끔히 청소하기
트레이 아이콘은 시스템이 동작하는 동안 계속 메모리를 차지하는 요소이므로 필요 없
다면 바로 삭제해 주는 게 좋다. 아이콘을 시스템 트레이에서 제거하려면 보통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팝업 메뉴에서 '삭제'를 선택하면 된다. 하지만 트레이 아이콘은 종
류만큼이나 제거 방법도 각양각색이다. 프로그램 자체에서 제어할 수 있다면 다행이지
만, 삭제 자체가 불가능한 프로그램들도 꽤 있다. 윈도 98은 이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
해 각종 트레이 아이콘을 한꺼번에 제거하거나 등록할 수 있는 시스템 설정 유틸리티를
제공한다.
1. '시작→실행→실행'에서 'msconfig'를 입력해 시스템 설정 유틸리티를 실행시킨다.
ㅡ>
2. '시작프로그램' 탭으로 이동해 부팅과 동시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목록을 확인한다.
<ㅡ
3. 목록 중에서 트레이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체크를 해제하고 '확인' 버튼을 누
른다.
ㅡ>
4.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트레이에서 아이콘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IP
숨어 있는 시작 프로그램 제거하기
시작 프로그램 중에는 시작 프로그램 폴더나 시스템 설정 유틸리티에서 찾을 수 없는 것
들도 있다. 이런 숨어 있는 시작 프로그램을 제거하려면 직접 레지스트리를 수정해야 한
다. 레지스트리 에디터를 실행한 다
음 'HKEY_CURRENT_USER', 'SOFTWARE', 'Microsoft', 'Windows', 'CurrentVersio
n', 'Run'을 차례로 클릭하면 찾는 시작 프로그램의 이름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프로그
램의 항목을 삭제한 다음 재부팅하면 된다.
Part 7 내 시스템을 굼뜨게 만드는 원흉 디스크 조각 날려버리기
윈도는 하드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할 때 FAT(File Allocation) 방식을 이용한다. 이것은
파일을 가장 효율적인 크기로 잘라서 보관하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중간에 다른 데이터
가 있으면 다른 장소를 찾아 저장하고 심한 경우에는 파일 한 개가 하드디스크 군데군
데 흩어져 저장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파일의
조각을 불러오는 과정이 추가되므로, 자연 시스템 속도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 파일들
이 연속적으로 저장되지 않은 경우 이를 순차적으로 재배치하는 작업이 바로 조각 모음
이다.
윈도 98의 디스크 조각 모음은 단지 디스크에 위치한 파일을 한 군데로 모아주는 역할
만 하는 게 아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파일을 디스크의 맨 앞부분으로 옮겨 실행 속도
를 개선시키는 역할까지 담당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어떤 것인지가 기록
되어 있는 로그 파일(Log File)을 참조해 지난 번 조각 모음 이후 변경된 부분을 다시 정
렬해 주는 것이다. 이 때 주의할 점은 조각 모음이 실행되는 동안에는 절대로 PC의 전
원을 끄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디스크 조각 모음을 하면서 다른 작업을 할 수도 있지만, 되도록 디스크 조각 모음을 하
는 동안에는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게 좋다. 만일 디스크 조각 모음 도중에 PC를
사용한다면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느려질 뿐 아니라, 조각 모음에 소요되는 시간도 훨
씬 더 길어진다. PC를 사용한다는 것은 결국 파일을 읽고 쓰는 과정인데, 이 때 조각 모
음 작업을 하게 되면 바뀐 파일을 다시 정렬하기 위해 처음부터 다시 조각 모음을 시작
해야 한다. 단시간 내에 디스크 조각 모음 작업을 마치고 싶다면 PC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해야 할 것이다.
조각 모음 준비에서 시동 걸기까지!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윈도 98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유틸리티보다는 유명 유틸리티
를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별도의 유틸리티를 사용해야 할 이유가 특별히 없
다면 윈도 자체 프로그램만으로도 충분하다. 인터페이스나 동작 방식이 약간 다를 뿐 핵
심적인 기능에는 별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이 각 유틸리티를 적절히 사용해
디스크 검사, 디스크 정리, 디스크 조각 모음 등을 순서대로 진행하면 윈도만으로 충분
히 효율적인 조각 모음을 수행할 수 있다.
1.'시작→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시스템 도구→디스크 검사'를 선택해 디스크 검사
유틸리티를 실행시킨다.
2. '디스크 검사' 창이 나타나면 검사할 드라이브를 선택해 '오류 자동 수정'에 체크한
다음 '시작' 버튼을 누른다.
3. '시스템 도구→디스크 정리'를 선택해 '드라이브 선택' 창에서 정리할 드라이브를 골
라 '확인' 버튼을 누른다.
<ㅡ
4. 제거할 파일의 종류를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필요 없는 파일이 말끔히 제거
된다.
ㅡ>
5. 마지막으로 '시스템 도구'에서 '디스크 조각 모음'을 선택해 조각모음을 실행할 드라
이브를 고른다음 '확인' 버튼을 누른다.
<ㅡ
6. '시스템 도구→디스크 정리'를 선택해 '드라이브 선택' 창에서 정리할 드라이브를 골
라 '확인' 버튼을 누른다.
윈도 스왑 파일 축소로 조각 모음 속도 높이기
윈도 98은 메모리의 용량에 관계 없이 항상 하드디스크에 'WIN386.SWP'이라는 윈도 스
왑 파일을 만든다. 가상 메모리를 만드는 이 스왑 파일은 보통 수백 MB를 넘는 경우가
많으며, 윈도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지우거나 삭제할 수 없다. 이처럼
움직일 수 없는 대용량의 파일이 하드디스크를 차지하고 있으면 조각 모음의 속도뿐 아
니라 효과까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각 모음 전에 먼저 다음과 같이 스왑 파일의 크
기부터 줄여주는 게 좋다.
1. '시작→설정→제어판'에서 '시스템' 항목을 실행시킨 다음 '성능' 탭으로 이동해 '가
상 메모리'를 선택한다.
2. 항목 중 '사용자가 직접 가상 메모리 설정을 관리'를 선택해 가상 메모리의 최소 값
과 최대 값을 설정해 준다. 실제 메모리의 1.5배 정도가 적당하다.
항목 중 '사용자가 직접 가상 메모리 설정을 관리'를 선택해 가상 메모리의 최소 값과 최
대 값을 설정해 준다. 실제 메모리의 1.5배 정도가 적당하다.
[7] 이메일과 바이러스 관리법
Part 8 방심하면 내 시스템에 엉겨버리는 이메일과 바이러스 관리법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 청소, 백업 등에는 많은 노력을 기울이면서도 이메일 관리는 소
홀한 경우가 많다. 바이러스가 노리는 채널이 이메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허술한 관리
는 결국 PC를 바이러스의 온상으로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또 아무리 용량
이 작은 이메일이라도 하나 둘씩 쌓여 몇 달 동안 방치된다면 하드디스크에 상당한 부담
을 줄 수 있다. 인터넷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이메일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
하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메일은 다음과 같이 헤더, 본문, 맺음말, 첨부 파일로 이뤄져 있다. 첨부 파일은 선택
사항이지만 나머지는 대부분의 이메일 형식이 사용하는 구조이다.
헤더 : 이메일에 대한 정보
본문 : 이메일의 내용
맺음말 : 사용자 정의 맺음말
첨부 파일 : 이메일과 함께 보낼 파일
헤더는 이메일 앞에 붙는 고유 신호로, 메일이 어떤 성격인지 알아볼 수 있도록 한 세계
공통 규약이다. 본문은 메시지를 작성할 때 입력하는 실제 내용을 말하며 맺음말은 이메
일 작성을 마친 후 넣는 자신만의 특별한 사인이다. 맺음말은 편지지 형식으로 미리 만
들어두고 발송시 자동 입력되도록 해주면 된다. 첨부 파일은 말 그대로 이메일과 함께
보내는 별도의 파일이다.
이 중에서 가장 관심 있게 봐야 할 것이 바로 첨부 파일이다. 이메일 구성 요소 중 가장
큰 용량을 차지하는 부분이자, 바이러스가 묻어오는 경로이다.
아웃룩 익스프레스 같은 이메일 클라이이언트는 한 개의 편지 보관함을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보관하므로 필요 없는 첨부 파일을 그때그때 정리해 주지 않으면 처치 곤란한 용
량 큰 편지함이 되어버린다.
이메일 바이러스 완벽 차단하기
사용자들의 나쁜 습관이 이메일 바이러스의 확산을 부채질하고 있다. 대부분의 이메일
사용자들은 프로그램의 편리성과 기능성만 생각했지, 바이러스 예방은 뒷전이다. 러브
바이러스가 그렇게 빨리 번질 수 있었던 것은 주소록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바
이러스 복사본을 발송하는 일명 스푸핑(Spoofing)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메일 바이러스의 피해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우선 출처가 의심되는 이메일은 바로
삭제해야 한다. 그런 다음 백신 프로그램의 이메일 감시기능을 이용해 이메일을 수신할
때마다 항상 바이러스 감염여부 먼저 체크해야 한다.
1. 대부분의 백신 프로그램에서는 이메일 감시 기능을 제공한다. 하우리의 바이 로봇에
서는 '인터넷 감시기'로 설정한다.
2. 원하는 계정의 항목을 체크해 주면, 앞으로 이 계정으로 수신되는 모든 메일은 사용
자에게 도착하기 전에 바이러스 검사부터 받게 된다.
깔끔한 편지 보관함을 위한 이메일 삭제와 백업
이메일을 정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폴더를 나눠 종류별로 분류하는 것이다. 아웃룩
익스프레스의 메시지 규칙 기능을 이용하면 이메일이 수신될 때마다 자동으로 지정된
폴더로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필요 없는 이메일은 즉시 삭제하고 오래된 편지
는 따로 백업함으로써 편지 보관함을 항상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ㅡ
1.아웃룩 익스프레스에서 삭제한 이메일은 '지운 편지함'으로 이동하므로, '지운 편지
함'으로 가서 다시 한 번 삭제해 줘야만 완전히 지울 수 있다.
ㅡ>
2. 만약 이 같은 작업이 번거롭다면 '도구→옵션' 메뉴를 실행시킨 다음 '유지 관리' 탭
의 '끝날 때 지운 편지함 지우기' 항목을 체크하면 아웃룩 익스프레스를 종료할 때 '지
운 편지함'의 이메일이 자동으로 삭제된다.
<ㅡ
3. 오래 되어 더 이상 업데이트되지 않는 편지 보관함은 따로 백업해 두고 원본은 삭제
한다. 백업할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다음 '등록 정보'를 선택한다.
ㅡ>
4. '이 폴더가 저장될 파일'에 있는 편지 보관함 파일을 임의의 폴더에 복사한다. 경로
가 잘린 것처럼 보일 때는 마우스로 드래그해 완전한 경로를 확인한다.
<ㅡ
5. 백업한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다음 '삭제'를 선택한다.
ㅡ>
6.'파일→가져오기→메시지'로 백업한 편지함 파일을 불러들여 지운 이메일을 다시 복
구할 수도 있다.
텍스트 파일로 변환해 이메일 무게 줄이기
아웃룩 익스프레스에는 이메일을 HTML이나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이 있다. 백
업할 이메일의 용량이 너무 커서 부담이 될 때 주로 이 기능을 사용한다. 간단한 메시지
를 담은 이메일인 경우에는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고 원본은 바로 삭제하면, 하드디스크
공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ㅡ
1. 텍스트 파일로 변환할 이메일을 선택한 다음 더블클릭으로 메시지 창을 연다.
ㅡ>
2. '파일→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해 '파일 형식'을 '텍스트(*.txt)'로 바꿔준다.
<ㅡ
3. 파일 이름과 저장할 경로를 지정하고 '저장' 버튼을 누르면 이메일의 내용이 텍스트
파일로 저장된다.
출처 : 깜보웹스쿨
'자료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즈 버전 (0) | 2010.04.07 |
---|---|
윈도우 7 32/64비트 + 서버 2008 R2 통합하기 (0) | 2010.04.07 |
필요한 정보를 깔끔하게 스크랩하는 방법 (0) | 2010.04.05 |
나의 개인정보, 공공의 정보가 되기까지 (0) | 2010.04.02 |
Preview Internet Explorer 9‏ (0) | 2010.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