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www.choboweb.com/32
많은 파워유저분들이 Total Commander나 FlyExplorer 같은 탐색기 대체 유틸리티로 파일관리를 하시지만, 사실 대부분의 컴퓨터 유저분들은 탐색기를 더 선호하시지요. 일단 심플한 인터페이스도 그렇지만, 무엇보다 어느 컴퓨터에나 다 깔려있어 친숙하기 때문일겁니다.
뭐.. 이유가 어찌됐든 파일 관리에 있어 탐색기를 선호하신다면 아래에 소개하는 프리웨어로 탐색기에 날개를 달아보시기 바랍니다.
1.파일플러스
설치하면 탐색기에서 마우스 우클릭 문맥메뉴에 등록되는 쉘확장기능인데.. 가히 종합선물세트라고 부를만합니다.
국산프로그램이며 자세한 기능과 활용법은 홈페이지에 잘 설명되어있네요.. ^^
탐색기를 쓰다보면 자주 가는 폴더이긴한데 경로가 복잡해서 매번 찾아갈때마다 불편함을 느낄때가 있습니다. 이럴때 FileBox eXtender의 즐겨찾기(favorite)와 최근에 접근한 폴더(recently accessed) 버튼을 사용하면 아무리 복잡한 경로에 있는 폴더도 한 방에 도착 할 수있습니다.
탐색기 뿐만아니라 파일 "열기"/"저장" 대화 상자에도 추가되서 활용도가 높으며, push-pin 기능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항상 위에 위치시키거나 roll-up 기능으로 프로그램의 제목표시줄만 제외하고 접히게 만들수도 있습니다.
3.DMEXBar
윈도우 탐색기에 상당히 많은 기능을 애드온 시켜주는 유틸리티입니다. 탐색기의 창을 두개로 분할시키거나 여러개의 파일 이름과 속성 한번에 바꾸기, 와일드 카드로 파일 필터링, 폴더 모니터링, 파일 이름과 경로 복사, 디렉토리를 드라이브로 마운트하기 등등 너무나 많은 기능을 지원합니다.
디렉토리 경로를 버튼으로 표시해주는 DMEXDir, 폴더를 즐겨찾기처럼 관리하는 DMEXFav 등의 확장 기능이 있지만.. 위에 소개한 FileBox Extender의 즐겨찾기 기능과 아래에 소개할 QT Address Bar의 디렉토리 버튼 만들기가 더 유용하기 때문에 설치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확장기능으로는 제어판에 무엇이든 추가하게 만들어주는 DMEXCpl, 파일의 확장자를 보이도록 새 칼럼을 만드는 DMEXCol, DMEXBar의 몇몇 옵션들을 문맥메뉴로 접근 할 수 있는 DMEXMenu가 괜찮은것 같습니다.
4.QTTabBar
이제 웹브라우저의 기본적인 기능으로 자리잡은 탭기능을 탐색기에서 사용하도록 만들어줍니다. 각각의 폴더를 탭으로 열고 닫을수 있기때문에 파일 복사/붙여넣기 같은 작업들이 매우 수월해집니다. 또 폴더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그 안의 파일들을 미리보기 할 수 있으며 텍스트 파일 같은 경우는 마우스를 안의 내용을 미리보기 할 수 있어 좋습니다. 이외에 다른 프로그램을 드래그해서 버튼으로 만든 후 런쳐로 활용하거나 폴더에 메모를 남기는 기능 등이 눈에 띄네요. 단축키 지원도 우수하며,플러그인과스킨다운로드도 가능합니다.
비스타의 탐색기처럼 다단 경로를 찾아 손쉽게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 할 수 있는 Breadcrumbs 기능을 제공합니다.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Explorer Breadcrumbs도 있습니다.
윈도우 탐색기는 기본적으로 파일 크기는 표시해 주지만 폴더 크기는 직관적으로 알 수 없는데요. Folder Size는 탐색기에 새로운 칼럼을 만들어 폴더 크기를 한 눈에 파악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물론 자세히 보기를 선택했을때만 나타나고 폴더 크기는 백그라운드에서 스캔합니다.)
7.Teracopy
윈도우의 기본적인 복사 & 붙여넣기 기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켜줍니다. 버퍼를 다이내믹하게 조절해주기 때문에 훨씬 빠르고 안정적인 파일 복사를 보여주고 작업 중간에 일시중지하거나 이어서 다시하기도 지원합니다. 에러가 난 경우에는 몇 번의 시도를 더하고 그래도 안되면 전체 복사 작업을 멈추는게 아니라, 그 파일만 건너띄어서 전체 작업을 마무리합니다. 탐색기 뿐만 아니라 윈도우 전체의 파일 복사 작업에 적용되고 마우스 우클릭 메뉴에 등록됩니다.
프로 버전도 있지만 별로 필요한 기능은 아니기에 무료 버전으로도 충분합니다.
새폴더 만들때 보통 마우스 우클릭후 폴더를 만드는데요.. 몇개는 그럭저럭 괜찮지만 수십개의 폴더를 계속 만들어야 한다면 이게 짜증나는 작업이 됩니다. Make New Folder를 이용하면 폴더 이름을 입력한 후 엔터를 눌러서 빠르게 폴더를 만들수 있고, " | " 옵션을 이용해서 다수의 폴더를 한 번에 만들수 있으며, 서브폴더는 " < > " 옵션을 이용해서 편리하게 만들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에 단축키를 지정해서 사용하면 더욱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폴더를 빠르게 만들수 있는 프로그램으로bxNewFolder도 괜찮습니다. 탐색기에 툴바에 버튼으로 등록되고, F12키가 새폴도를 만드는 단축키로 지정됩니다.
9.Rocker
파이어폭스나 웹마 또는 익스와 아토를 같이 쓰시면 마우스 제스처의 편리함을 느끼실텐데요. Rocker는 브라우저 뿐만 아니라 탐색기에도 마우스 제스처를 적용 시킬수 있는 유틸리티입니다. 사용법은 마우스 우클릭을 한채로 좌클릭을 하면 뒤로가기, 마우스 좌클릭을 누른 상태에서 우클릭을 누르면 앞으로 가기가 적용됩니다. 또한 아이튠과 Notepad++에서도 활용 할 수 있는데 아이튠은 트랙 앞으로/뒤로, 노트패드는 탭 앞으로/뒤로가 적용됩니다.
포터블 프로그램이라 설치가 필요없습니다. 다운로드는여기
보다 전문적인 마우스 제스처 프로그램을 원하시면StrokeIt을 추천합니다.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설치하다 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탐색기의 우클릭 문맥 메뉴가 복잡해 지는걸 느끼는데요. 이럴때 FileMenu Tools를 활용해서 필요없는 문맥 메뉴를 편집 할 수 있습니다. 단지 삭제하는 것 뿐만아니라 명령을 추가하거나 변경 할 수도있고, 명령 순서를 바꾸는 것도 가능합니다.
또 보내기(Send to) 메뉴를 관리하거나 Find and Replace, 폴더 동기화 기능등 쓸만한 유틸리티가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상당히 깔끔한 UI를 보여주기 때문에 처음 사용하시는 분도 금방 적응 할 수 있어서 좋네요.
비슷한 프로그램으로MMM이라는 재밌는 이름의 유틸리티도 괜찮습니다.
11.iColorFolder
폴더의 모양과 색상을 스킨 적용하듯이 변경 할 수 있는 재밌는 유틸리티입니다. 전체적인 폴더 모양을 한 번에 바꿀수도 있고, 특정 폴더에서 우클릭으로 색상 변경이 가능합니다.다운로드 페이지로 가면 스킨팩도 있으니 같이 설치하시면됩니다.
12.SageThumbs
얼마전에 소개한 마우스 우클릭으로 이미지를 미리보기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벡터 파일까지 미리보기 할 수 있어 활용도가 뛰어납니다.
13.ThumbView
탐색기의 그림 파일 미리보기 능력을 확장시켜줍니다. PNG/TIFF 등의 이미지 파일과 포토샵 파일인 PSD 등 19가지 이미지 형식을 지원합니다. 마우스를 이미지에 올리면 그 파일의 자세한 정보를 툴팁으로 보여주는 기능도 마음에 드네요. Lite 버전과 Full 버전이 있는데.. Full 버전은 프로그래머들을 위해 제공되는 버전이고 일반 유저는 Lite을 버전을 받으시면됩니다.
탐색기의 이미지 파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아이콘을 그 파일의 썸네일 자체로 바꿔주는 유틸리티입니다. 윈도우 탐색기의 자체 기능인 "썸네일 보기" 명령과 동일한 기능같지만, Xentient Thumbnails는 "보기" 메뉴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상황에서나 이미지 파일의 썸네일을 표시해줍니다.
JPG, JPE, JPEG, JP2, J2K, GIF, PNG, BMP, WBMP, EMF, WMF, PCX, PBM, PGM, PNM, PPM, RAS, TIF, TIFF, TGA 포맷을 지원합니다.
15.AudioShell
탐색기에서 우클릭 문맥메뉴로 손쉽게 음악파일의 태그를 바꿀수 있는 쉘확장기능입니다. 마우스를 음악파일 위에 위치시키면 자세한 음악 정보가 툴팁으로도 제공됩니다. 다수의 음악 파일의 태그를 수정하기에는MP3Tag이 훨씬 낫지만, 음악 파일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거나 편집하는데는 더없이 편안합니다.
16.Unlocker
지워지지 않는 파일을 강제로 삭제하도록 만들어주는 쉘확장기능입니다. 너무나 유명해서 부연 설명이 필요 없을듯.. ^^;
'자료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개념 운영체제 ‘윈도우 7’ 정보 총정리 (0) | 2010.03.10 |
---|---|
차세대 운영체제 `WebOS` (0) | 2010.03.10 |
컴퓨터와 상식 (0) | 2010.03.06 |
폴더를 ISO 파일로 만들기 (0) | 2010.03.05 |
엑셀 강좌 - VBA (0) | 2010.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