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lastbeatz.tistory.com/1334
오늘은 eBoostr 와 RAMdisk 로 컴퓨터 사용에 있어 체감속도를 확 땡겨올려주는 방법을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것들이 무엇이냐하면!
저도 아주 정확한 전문지식은 없지만 대략 한 6개월정도 계속 사용해본 결과
eBoostr 설명 |
eBoostr 는 USB나 RAM의 용량을 컴퓨터에 깔려있는 프로그램의 캐시를 누적저장하고 많이 저장될수록 우선순위를 높혀줘서 실행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라고 할수있겠습니다.
쉽게 예를 들면 가벼운 프로그램에서는 별로 티가 나지않지만 부팅후 무거운 프로그램을 최초실행시 완벽하게 로딩하는 속도가 10초라고 쳤을때 그 프로그램을 끄고 2번째 실행부터는 10초보다 훨씬 빠른속도로 구동이됩니다. 그죠?
한번 실행했을때 캐시파일을 만들고 두번째 실행부터는 속도가 올라가는데 eboostr 는 이 캐시들을 미리 불러들여놔주는 기능을 하기때문에 최초실행시에도 2번째 실행하는것같은 속도를 내줍니다. 이렇게 말을하면 에이 그럼 한번만 느리게 열었다 닫았다하면 되는거네 그리 큰느낌 없겠는데? 라고 생각할수있지만 이게 부팅시에 트레이에 아이콘이 생기는 속도부터 차이가나고 부팅시간단축, 실행할수있는 거의 모든 프로그램이 구독속도가 확 올라가기때문에 체감상으로는 엄청나게 달라집니다.
RAMdisk 설명 |
RAMdisk 는 HDD, 요새 점점 HDD 의 자리를 노리고있는 SSD 보다도 빠른 처리속도를 가진 RAM 을 디스크드라이버로 사용할수있게끔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RAM 의 가격이 만만찮기때문에 보편적으로는 2기가, 나름 쫌 쾌적할려면 4기가, 정말 컴퓨터를 너무너무너무 사랑하거나 RAM이 적으면 업무에 지장을 주는 사람들은 8기가 16기가를 쓰기도 하지요. eBoostr 는 남는 USB메모리 대충 꽂아놓고 돌리면 되는거기때문에 손해보는 느낌은 없지만 RAMdisk는 램이 4기가라고 치면 지정한만큼을 램이 원래해야하는 역할을 못하게하고 디스크드라이브로 빼오는것이기때문에 난 램이 정말 중요해!!!! 고사양게임 하는데 로딩이 3초라도 길어지면 좌절감에 빠지고말거야!!!!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사용하기가 쫌 껄끄럽습니다.
저도 한때는 게임을 많이해서 RAMdisk 를 껐다켰다 하면서 귀찮았었는데 요새는 게임을 잘 안하기때문에 그냥 계속 켜놓고 삽니다. 최근 주로 하는일이 증권쪽과 블로그, 웹서핑, 메신져, 가끔 카스나한판하고 하는게 다이기때문에 지금 쓰고있는 램 4기가는 충분히 놀고있다는 생각에..
본 포스팅에서 설명하는데로 RAMdisk 를 쓸경우 웹페이지 뜨는 속도가 올라갑니다.
설명은 이쯤 하기로 하고 셋팅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주의사항 : 본 포스팅은 RAM이 많아서 램으로 eBoostr 를 활용하고, 윈도우임시파일까지 RAMdisk에 잡는 설정을 할만한 헤비유저를 위한 포스팅이 아닙니다. 이 글에서는 USB를 이용한 eBoostr, 인터넷임시폴더만을 RAMdisk로 사용하기위한 그렇게 넉넉하진않지만 쾌적하고싶은 사람을 위한 포스팅입니다.
eBoostr 설정 |
본 포스팅은 집에서 놀고있는 USB메모리가 있다는 가정하에 진행됩니다. (따로 한개 사셔도되구요)
원래는 포스팅마다 설치과정같은걸 다 설명하지만 압축풀어보면 Crack도 있고 설치파일도 있고 친절한 설명서도있기때문에 따로 설명은 하지않겠습니다.
(저는 현재 eBoostr 를 이미 쓰고있기때문에 장치가 추가되있습니다. 처음까신분들은 저 화면과 다릅니다.)
언어가 바뀌었으면 옵션에서 제외 목록을 누릅니다.
(구지 캐쉬안해도되는 윈도우가 설치되어있지않는 다른 디스크를 잡아주기 위함입니다.)
저는 C에 윈도우가 깔려있고 D와 E은 데이터저장용이기때문에 C에 캐시를 더 집중시키기위해 저렇게 제외시켰습니다.
설정이 끝났으면 확인을 누르고 나옵니다.
이번에는 옵션에서 우선순위 응용프로그램으로 갑니다.
(전체적인 프로그램중에서도 우선적으로 빠르게 실행시킬프로그램을 정하는 과정입니다.
저는 저곳에서 설정시 많은 체감을 느꼈습니다.)
우측에서 좌측으로 잡고 드래그를 해주시면 우선순위에 등록이 됩니다.
(추가하고싶은 프로그램이 있는데 목록에 없는 경우가 있을때는
윈도우 탐색기에서 설치된 경로를 찾아가서 exe파일을 드래그해주거나
시작 메뉴에서 바로가기를 드래그해줘도 추가가됩니다.)
사전 설정은 모두 끝났고 본격적으로 가동을 시켜보겠습니다.
본인이 원하는 드라이브를 선택하세요.
(램이 4기가 이상이고 무거운 프로그램 별로 돌리시지 않는다면 시스템메모리에서 적당히 땡겨오는것도 괜찮습니다.
여러드라이브를 추가할수있으니까요.)
초록색으로 나오고있다면 잘 돌아가고있다는것입니다.
(절전모드를 켜놓으면 한동안 컴퓨터에 손을 대지 않고있을때 노란색으로 바뀝니다.)
eBoostr 는 여기까지 입니다. 이제 RAMdisk 로 넘어가보도록 해요.
RAMdisk 설정 |
주의사항: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쓰는경우 Orbit 이나 FlashGet 같은 다운로더를 쓰지않으면 램디스크로 잡은 용량 이상의 파일을 다운로드 할수없습니다. 저는 모든 프로그램을 Orbit 이라는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버에서 받는경우 다른 사람들보다 최대 수십배의 속도로 다운받고있습니다.
귀찮지만 초기설정을 빡세게 해놓고 쾌적한 웹서핑, 쾌적한 다운로드를 사용하실분은 아랫글을 읽고 Orbit을 사용해보시고,
아 귀찮아 그냥 느리게 쓰고말지 꺼져 하시는분은 RAMdisk 는 안쓰시는걸 추천합니다. (평기는 백방 안씁니다. ㅋㅋ)
저는 인터넷임시폴더로만 사용할것이고 유튜브 1080p 풀HD 영상 10분짜리도 용량이 300메가가 안되기때문에 넉넉하게 512로 잡아줬습니다.
(Unformatted 에 체크하고 램디스크 잡은후 NTFS로 포멧하면 NTFS로 쓸수있지만
재부팅하면 다시 FAT32로 돌아오고 어차피 용량이 그리 크지않기때문에 FAT32를 추천합니다.)
RAM은 휘발성메모리기때문에 전원이 꺼지면 자동으로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2. 저 두곳에 체크를 풀면 끄는즉시 데이터를 날려버립니다.
(저장한것과 안한게 눈에는 확연히 보이지만 그리 큰차이가 아니기때문에 저는 체크를 안합니다.)
그리고 이제 램디스크를 인터넷임시폴더로 쓰기위해 폴더 이동 버튼을 눌러줍니다.
예 버튼을 누르시면 재시작이 아닌 로그오프가 되고 다시 들어오시면 인터넷임시폴더가 RAMdisk 로 완벽히 변경됩니다.
'자료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oostr 4 윈도우 7 지원_캐시 장치 사용하기 (0) | 2011.11.26 |
---|---|
마우스 우클릭해제 - IEToy 2,0.0.5 설치와 사용법 (0) | 2011.11.25 |
인터넷 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프로그램_iVelocity! (0) | 2011.11.24 |
SSD의 최적화 및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가이드 (0) | 2011.11.24 |
RAID란 무엇인가? (0) | 2011.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