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casa.go.kr/kr2/business/traffic2.asp
![](http://www.casa.go.kr/kr2/images/business/bus_top_icon001.gif) | 항공통신 |
| | ![](http://www.casa.go.kr/kr2/images/business/bus_top_icon02.gif) | 항공통신시설 | | | 가. 항공이동통신시설 | | | - 지상의 관제사 및 통신사와 항공기간의 통신이나, 항공기와 항공기간의 음성통신을 위한 시설 - 주로 항공교통관제, 비행정보 및 항공사 운항관리 등의 업무수행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음 - 단거리통신에는 초단파(VHF) 및 극초단파(UHF)가 사용되고, 장거리통신에는 단파(HF)가 사용됨 | | | | ![](http://www.casa.go.kr/kr2/images/business/safe_02.gif) | | | | 나. 항공고정통신시설 | | | - 일정한 지점에 위치하고, 지방항공청장 또는 항공교통센터장에게 가입신청하여 승인된 항공교통기관, 항공사 및 관련 단체나 개인 간에 항공관련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시설 - 전 세계 모든 나라가 가입한 항공고정통신망(AFTN), 직통전화, 관제소간 데이터통신망 등이 있음. | | | | ![](http://www.casa.go.kr/kr2/images/business/safe_03.gif) | | | | ![](http://www.casa.go.kr/kr2/images/business/safe_04.gif) | | | | 다. 항공정보방송시설 | | | - 공항이나 항로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무선통신(VHF, UHF)으로 방송하여 항공기가 수시로 청취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 | | | | ![](http://www.casa.go.kr/kr2/images/business/safe_05.gif) | | | | 라. 행정업무용 시설 | | | - 공항 구역내에서 일상업무 연락을 위하여 사용하는 무선시설로서 주파수변조(FM) 방식을 이용한 통신과 주파수공용통신 시스템(TRS)가 있음 | | | | ![](http://www.casa.go.kr/kr2/images/business/safe_06.gif) | | | | 마. 항공통신시설 현황 | | | 구 분 | 관제무선통신 | 장거리무선통신 (HF) | 항공고정통신 | 업무용무선통신(FM) | VHF | UHF | AMS | PC | 공 항 | 김 포 인 천 김 해 제 주 광 주 대 구 울 산 여 수 포 항 사 천 양 양 예 천 목 포 군 산 청 주 원 주 소계 | 18조 16조 10조 18조 8조 8조 5조 5조 8조 6조 4조 8조 4조 6조 8조 8조 140 | 8조 9조 11조 10조 12조 12조 5조 4조 9조 5조 2조 12조 4조 7조 2조 12조 124 | 6조 | 1식 | 33대 14대 14대 6대 2대 2대 2대 2대 2대 1대 3대 1대 2대 1대 2대 1대 | 246대 900대 71대 79대 17대 24대 39대 31대 11대 12대 36대 9대 22대 6대 15대 11대 | 항 공 무 선 표 지 소 | 안 양 강 원 부 산 포 항 제 주 예 천 대 구 광 주 | 10조 7조 4조 10조 11조 6조 | 10조 8조 4조 8조 11조 5조 | | | | 1대 4대 - - 1대 - - - | 항공교통관제소 | 3조 | 3조 | 2조 | | 5대 | | 항공기술훈련원 | | | | | | 3대 | 계 | 191조 | 173조 | 8조 | 1식 | 98대 | 1,538대 |
| | | | 바. 항공가상시설 | | | - 공항기상자동관측장비(AMOS) : 활주로 가시범위 측정장치 및 운고계 등으로 구성되며 활주로 주변에 설치하여 항공기 이.착륙에 영향을 주는 기상요소의 변화를 실시간 수집.처리하여 관제사 등에 제공하는 장비 | | | | - 공항도플러기상레이더(TDWR) : 공항주변에서 발생하는 강수, 뇌우, 돌풍현상과 같은 악기상의 발생 유.무, 강도, 이동 속도 등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관제사 등에 제공하는 시설 | | | | - 저고도 돌풍경보장치(LLWAS) : 활주로 주변에 설치된 감지장치(6개~32개)에서 돌풍현상을 실시간 탐지하여 관제사 등에 제공하는 시설 |
| | ![](http://www.casa.go.kr/kr2/images/business/bus_top_icon02.gif) | 항로관제시설 | | | 가. 배경 | | | - 비행정보구역을 비행하는 항공기의 정시성 및 안전운항 확보를 위하여 ‘86년 군에서 설치 운용하던 항로관제 시설을 인수. 운영('95.3월) | | | | - 기존의 시설은 노후화 및 일부 기능의 미흡으로 운영능력이 한계에 도달하게 됨에 따라, 21세기 항공교통수요에 대비하고 항공기 안전운항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항로관제시스템 현대화 사업 추진 | | | | 나. 사업개요 | | | - 사업명 : 신항공교통관제시스템 도입 및 설치 - 사업기간 및 사업비 : 1998.5→2001.7, 약 611억원(청사 149억원) - 계약자 | | | | ·삼성SDS(협력업체 미국 Lockheed Martin, 오스트리아 Frequentis) ·(주) 대우건설외 13개 업체 | | | | - 사업내용 | | | | ·관제시스템 1식, 모의훈련시스템, 기타 부대시설 ·청사신축(건축규모 : 연면적 7,433㎡, 지하1층, 지상3층) | | | | 다. 개선효과 | | | - 최첨단의 항로관제시스템 운용개시로 동북아시아 항공교통의 중추적인 역할 수행 및 항공교통 소통의 원할화와 항공안전도 증진에 기여 | | | | - 새로운 항로관제시스템의 운용개시에 따른 개선효과 | | | | ·동시 항적처리 용량 : 300대→1000대(3.3배) ·동시 비행계획서 처리 용량 : 340대→4,000대(11.8배) ·반복비행계획서 처리 용량 : 1,000대→20,000(20배) ·인공위성을 이용한 국제표준시간 자동 표시 ·항공교통흐름관리(ATFM) 기능 및 모의훈련 기능 탑재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자동관제이양 기능 탑재 |
|
|
|
![](http://www.casa.go.kr/kr2/images/business/bus_top_icon02.gif) | 항공로 시설 | | | 우리나라 비행정보구역내의 항공로 구성을 위하여 항공무선표지소를 설치운용 | | | | - 항공무선표지소(8개소) : 안양, 강원, 부산, 포항, 제주, 예천, 대구, 양주 | | | | ![](http://www.casa.go.kr/kr2/images/business/1e_1a.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