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love-apple.tistory.com/63
자동차의 본넷트를 열어보면 크로스멤버나 대시패널부에 그 자동차마다 이름표와 같은 차대번호(Vehicle Identification Number)판이 부착되어 있다. 차 량번호, 차량식별번호라고도 하는 이것은 차량의 도난방지와 차량 결함을 추척하기 위한 일종의 꼬리표다. 자동차 제작사에서는 이 차대번호를 별도 관리하여 차량 결합등이 발견되었을 경우, 해당 자동차를 추적하여 결합 내용이 사고로 이어지는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어떤 자동차의 차대번호를 알면 그 자동차의 제작회사와 제작시점등 일련의 제작과정을 알 수가 있다. 다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작사에서 관리되고 있는 제작과정의 자세한 내용들은 알 수가 없지만 제작회사와 제작년도등은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17개의 자리수중 3번째에서 9번째까지는 제작사 자체적으로 설정된 부호와 약속에 의한 의미를 담고 있지만 1,2,10,12~17번째 자리는 어느 회사건 동일하기 때문이다. 1번째는 국가를, 2번째는 제작사,10번째는 제작년도, 12~17번째는 제작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
K M F F D 3 7 B P Y U 466459 ↓ ↓ ↓ ↓ ↓ ↓ ↓ ↓ ↓ ↓ ↓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⑪ ⑫ ( 예 )
|
|
|
|
1. 제작회사군 |
① | 국제 배정 국적표시 | | K: KOERA, J : 일본(Japan), 1 : 미국(USA) |
② | 제작회사 | | M:현대자동차, L:대우자동차, 대우조선/중공업, N:기아자동차등.. |
③ | 자동차종별 | | H:승용차(현대), A:승용차(기아,대우), M:승용차(르노삼성자동차) |
|
2. 자동차 특성군 |
④ | 차종형식(차량의 기본형식 기준) | | 소나타.그랜저, 레간자, 옵티마 등 |
⑥ | 제동장치, 세부차종(승용차는 등급, 기타는 용도별로 구분 | | 1:표준 2:고급사양 3:최고급사양 |
⑦ | 안전벨트구분 | | 0:없음 1:3접이식벨트 2:페시브벨트) |
⑨ | 내수등의 구분 : P 내수/미국, 캐나다제외 전지역 | | 타각의 이상유무 확인표시 |
|
3. 제작일련번호 |
| 알파벳 부호 | 제작년도 | 알파벳 부호 | 제작년도 | A | 1980 | T | 1996 | B | 1981 | V | 1997 | C | 1982 | W | 1998 | D | 1983 | X | 1999 | E | 1984 | Y | 2000 | F | 1985 | 1 | 2001 | G | 1986 | 2 | 2002 | H | 1987 | 3 | 2003 | J | 1988 | 4 | 2004 | K | 1989 | 5 | 2005 | L | 1990 | 6 | 2006 | M | 1991 | 7 | 2007 | N | 1992 | 8 | 2008 | P | 1993 | 9 | 2009 | P | 1994 | A | 2010 | S | 1995 | B | 2011 |
|
⑪ | 생산공장지역 | | U : 울산공장(현대), S : 소하리공장(기아) |
⑫ | 차종별 제작일련번호 : 차종별 생산 일련번호 000001~99999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