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우주정거장

희망이 2010. 6. 15. 08:49

출처 : http://kr.blog.yahoo.com/acftacft/3119

1998년 11월 러시아에서 첫 발사를 시작으로한 국제우주정거장(International Space Station : ISS) 운영이 11년을 넘었다. 지금까지 유인우주선 44회, 무인우주선 34회의 발사를 통해 많은 장비가 조립되고 실험 공간들이 조립되어 점점 커지고있다. 지금까지 15개국 167명이 다녀갔고 끝이 없는 완공을 위해 지금도 계속 국제 정거장의 규모는 커지고있다. 본래 계획은 2003년에 완공할 계획이었으나, 현재는 2011년을 완공 목표로 수정되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1998년 12월 NASA의 Space Shuttle이 국제우주 정거장을 건설하고있다. 상부는 러시아에서 만든 모듈이고 하부는 미국이 만든 모듈인데, 우주승무원이 이 둘을 로봇팔을 활용하여 조립하고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소련의 우주선과, 미국의 우주선이 서로 도킹을 준비하고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두개의 모듈이 완전히 조립되어져 우주왕복선으로 부터 멀어지고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001년 2월에 Destiny 연구동을 국제우주정거장에 부착을 하고있다. 도킹부분에 각종 전기선과 컴퓨터 통신 케이블 등을 섬세하게 모두 연결해야한다. 국한의 조건에서 한치의 오차도 없어야하므로 지상에서 많은 훈련을 요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사진의 장치는 rotating service structure라 부른다 임무를 마치고 돌아온 우주왕복선(사진은 Endeavour호)을 다시 세워서 재정비를 한후 발사상태로 전환하는 작업대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호의 국제정거장 임무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국제우주정거장내 러시아 승무원이 관측 창을 통해서 지구의 지질학적 특이사항을 촬영하고있다. 외부의 특수카메라로 촬영하는 줄 알았는데, 매우 원시적인 방법을 사용하고있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우주정거장내에 실험장비. 이 장비는 우주정거장내 장기간 근무자가 우주선에 얼마나 피폭이 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저 사람흉상 장비내에는 우주선이 침투하는 양을 측정하는 장비가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우주선 승무원의 셀카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우주정거장 세번째 임무팀(흰옷)), 우주왕복선 승무원(줄무늬), 세번째 임무팀(빨강)이 모여서 우주정거장내에서 단체 촬영. 무중력이라 위 아래가 없으니 찍기도 편하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호와 우주정거장 도킹작업중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우주정거장내 물을 관리하는 곳이라고 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승무원 3명을 태우고 국제정거장으로 향하는 러시아의 Soyuz TMA-4. 2004년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러시아 우주선 TMA-10이 우주정거장과 도킹을 시도하고있다. 2007년 9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우주정거장 내의 창고라고 합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무중력 상태에서 둥둥 떠있는 물방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우주정거장내 실험실이다. 많은 장비와 전선으로 매우 복잡해 보인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캐나다에서 만든 로봇팔, 우주 승무원이 외부작업중이다. 사진은 엔데버 호에서 2007년에 찍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제 8차 임무 팀의 사령관이 번지 하네스를 이용하여 근력 유지를 위한 운동중. 우주에서 근육을 쓸일이 없어서 오랜동안 머물면 지구에서 큰 어려움을 겪는다. 간간히 운동이 필요하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003년 국제우주 정거장의 괘도를 수정하는 순간이다. 러시아 우주 통제소에서 원격으로 약 14분간의 로켓점화를 통해 고도를 약 3Km 더 올렸다. 우주내에서도 조금씩 괘도가 떨어지므로 정기적으로 괘도 수정이 필요하다. 우주괘도라 하더라도 아주 희박하게 공기저항이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우주정거장 실험 모듈안에는 식물을 키우는 실험 섹션이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우주정거장내 여성 승무원이 디스커버리호의 도킹을 지켜보고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005년 8월 다스커버리호의 승무원이 17미터 길이의 캐나다 로봇팔에 얹혀져서 우주작업을 하고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러시아 우주승무원 옷이다. 사용이 불가능하자 우주로 버려버렸다. 아마 지구로 떨어지면서 태워 없어질 것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새로운 구조물을 장착하기위해 선외 작업중이다. 2006년 12월. 뉴질랜드 상공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사진은 2000년 10월의 형상이다. 이후에도 많은 연구동들이 연결되어 계속적으로 기능과 크기가 증가하고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000년 12월의 우주정거장. 태양전지 판넬 전체가 완성된 상태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002년에 아틀란티스 우주왕복선에서 촬영한 우주정거장 사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005년 8월,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가 찍은 우주정거장 모습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007년 6월의 우주정거장 모습.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008년 6월의 모습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승무원이 선외활동장치(EVA : extravehicular activity)를 착용하고 외부 작업을 하고있다. 6시간 52분을 교대없이 작업해내었다.

참조영상 : http://www.youtube.com/watch?v=H8rHarp1GEE&feature=player_embedded


Posted by Happynowlif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