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ahnlab.com/kr/site/securityinfo/secunews/secuNewsView.do?curPage=1&menu_dist=2&seq=18254&dir_group_dist=0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최근 발견된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8월 정기 보안 패치를 발표했다.

이번에는 총 13개의 보안 패치가 배포되었다.

공지 제목 및 요약취약점 영향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MS11-057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2559049)
긴급
원격 코드 실행
MS 윈도우,
인터넷 익스플로러
MS11-058
DNS 서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2562485)
긴급
원격 코드 실행
MS 윈도우
MS11-059
Data Access Component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중요
원격 코드 실행
MS 윈도우
MS11-060
Microsoft Visio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2560978)

중요
원격 코드 실행
MS 오피스
MS11-061
원격 데스크톱 웹 액세스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2546250)
중요
권한 상승
MS 윈도우
MS11-062
원격 액세스 서비스NDISTAPI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2566454)
중요
권한 상승
MS 윈도우
MS11-063
Windows CSRSS(Client/Server Runtime Subsystem)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2567680)
중요
권한 상승
MS 윈도우
MS11-064
TCP/IP 스택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2563894)
중요
서비스 거부
MS 윈도우
MS11-065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2570222)
중요
서비스 거부
MS 윈도우
MS11-066
Microsoft 차트 컨트롤의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 유출 문제(2567943)
중요
정보 유출
MS닷넷 프레임워크
MS 디벨로퍼 툴
MS11-067
Microsoft Report Viewer의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 유출 문제(2578230)
중요
정보 유출
MS 디벨로퍼 툴
MS11-068
Windows 커널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2556532)
보통
서비스 거부
MS 윈도우
MS11-069
.NET Framework의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 유출 문제(2567951)
보통
정보 유출
MS닷넷

이 보안 취약점은 다양한 악성코드에 악용되므로 안전한 시스템 사용을 위해서는 모든 업데이트를 즉시 적용해야 한다. 단, 윈도우 업데이트 모드를 ‘자동 업데이트로’로 설정한 사용자들은 별도의 다운로드 절차 없이 보안 업데이트가 자동 적용된다. 따라서 윈도우 사용자라면 반드시 ‘자동 업데이트’를 설정할 것을 권장한다.

윈도우 자동 업데이트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윈도우XP 사용자의 경우: [제어판]-[보안센터]-[자동업데이트] 선택

- 윈도우7 사용자의 경우:[제어판]-[시스템 및 보안]-[설정변경]-[업데이트 자동 설치] 선택

수동 업데이트의 경우에는 한국MS 보안 사이트 (www.microsoft.com/korea/security)에서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MS 8월 보안 업데이트에 대한 좀더 자세한 사항은 보안 공지(http://www.microsoft.com/korea/technet/security/Bulletin/ms11-aug.mspx)에서 확인할 수 있다.@

Posted by Happynowlife
,